2021/08/16 19

文대통령 “10월까지 국민 70% 2차접종 완료”… 2923만회분 더 필요

文대통령 “10월까지 국민 70% 2차접종 완료”… 2923만회분 더 필요 박효목 기자 , 김소민 기자 입력 2021-08-16 03:00수정 2021-08-16 03:09 광복절 경축사… 목표 한달 앞당겨 “어느 선진국보다 위기 안정적 극복 내년 상반기까지 국산백신 상용화”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10월이면 전 국민의 70%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까지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모더나 백신 공급이 차질을 빚고 있음에도 당초 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11월보다 한 달 앞당겨 2차 접종을 끝내겠다고 밝힌 것.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중구 ‘문화역 서울 284’(옛 서울역)에서 열린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어느 선진국보다 코로나19 위기를 안정적으로 극복하고 있다..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文정부 국정과제 ‘감염병 전문병원 7곳’…한곳도 완공 안돼

[단독]文정부 국정과제 ‘감염병 전문병원 7곳’…한곳도 완공 안돼 유근형 기자 , 이지운 기자 , 김소민 기자 입력 2021-08-16 03:00수정 2021-08-16 07:50 음압병실 확충, 목표의 33% 그쳐… 사업완료 시기도 1년 6개월 미뤄 전문병원 예산 집행률 11% 불과, 어제 1817명 확진… 일요일 최다 제주, 18일부터 거리두기 4단계 수도권의 한 공공의료기관에서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해 음압병실이 있는 병동으로 들어가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올해 국가지정 음압병실 83개를 확충하기로 했지만 7월 말까지 27개를 만드는 데 그쳤다. 동아일보 DB 음압병실 찔끔 늘리고 전문병원 문도 못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첫 환자가 발생..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열강들의 무덤’ 아프가니스탄, 영국·러시아 이어 미국도 실패

영국-구소련-미국 등 ‘강대국들의 무덤’ 아프가니스탄 세계적 강대국들 모두 아프가니스탄서 철수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2021-08-16 06:02 송고 아프가니스탄 무장조직 탈레반 전사들이 2021년 8월 13일(현지시간) 헤라트에 진입한 모습. © AFP=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미국이 20년 만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했다. 앞서 영국과 구소련도 아프간에서 철수한 적이 있어 아프간은 ‘강대국들의 무덤’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아프간에 발을 들였던 미국이 20년 만에 결국 철수를 결정하자 ‘강대국들의 무덤’ 아프간의 역사가 재조명되고 있다. 19세기 대영제국, 20세기 러시아에 이어 21세기 미국마저 아프간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철군했기 때..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아프간 대통령궁에 깃발 내건 탈레반… 美 대사관은 성조기 내려

[특파원 리포트] "대사관의 성조기가 내려졌다"..美, 치욕의 '아프간 탈출' 이정민 입력 2021. 08. 16. 06:53 수정 2021. 08. 16. 07:26 ■ '제국의 무덤' 아프간, 미국 대사관 깃발이 내려졌다 탈레반이 결국 아프간 수도 카불을 점령했습니다. 가니 아프간 대통령은 진작에 카불을 탈출했습니다. 탈레반은 이미 아프간 대통령궁에 진입했습니다. 미국 대사관은 자국민들에게 급히 대피 명령을 내렸습니다. 미국 헬기가 직원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대사관 상공을 왔다갔다하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미국 헬기가 주 아프간 미국 대사관 직원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상공을 날고 있다. (출처:AP) 미국 군사전문지 성조지의 로렌스 기자는 미국 대사관의 스탭들이 성조기가 불타지 않도록 국기를 들고 있는 ..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서울 사는 아프간인들의 절규 “한국이여, 우리를 버리지 말아주오”

서울 사는 아프간인들의 절규 “한국이여, 우리를 버리지 말아주오” 탈레반 집권 소식 전해진 뒤 만난 주한 아프간인들 ”탈레반은 생업종사도 못하게 한 나쁜 사람들” ”썩을대로 썩은 정부가 무너져 차라리 속시원” 일갈도 ”누가 집권하든 평화와 안정만 가져다주면 지지할 것” 탈레반, 2007년 샘물교회 피랍사건으로 한국과 악연도 정지섭 기자 입력 2021.08.16 07:00 2021년 8월 15일 한국에 거주하는 아프가니스탄인들은 지독하고 엄혹한 현대사의 아이러니에 몸서리를 쳐야 했다.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일구고 살아가는 나라의 독립기념일에 모국의 정부가 극단주의와 테러로 악명을 떨쳐온 반군에 전복되고 수도가 함락됐다는 소식이 들려왔기 때문이다. 가짜뉴스가 아닌가 의심될 정도로 탈레반의 진군과 아프간 정부..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탈레반, 대통령궁도 장악…"전쟁 끝났다, 개방적 정부 구성할것"

탈레반, 대통령궁도 장악…"전쟁 끝났다, 개방적 정부 구성할것"(종합) 연합뉴스 김용래 입력2021.08.16 07:09 아프간 대통령궁에 탈레반 깃발 올려…"국민 기대 부응하고 문제 해결해줄 것" 국영방송도 장악한 뒤 대국민 담화…국민들에게 평정심 유지 촉구 15일 아프가니스탄 대통령궁을 장악한 탈레반 조직원들 [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탈레반이 15일(현지시간) 아프간 대통령궁도 수중에 넣은 뒤 "전쟁은 끝났다"며 사실상 승리를 선언했다. 알자지라방송은 탈레반의 사령관들이 이날 아프간 수도 카불의 대통령궁에서 무장 대원 수십명과 함께 있는 모습을 영상으로 공개했다. 탈레반 대원들은 아프간 대통령궁을 장악한 뒤 탈레반기도 게양했다고 이 방송은 전했다. 탈레..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아프간 정부 ‘탈레반에 권력이양’ 항복… 대통령도 나라 떠났다

아프간 정부 ‘탈레반에 권력이양’ 항복… 대통령도 나라 떠났다 조종엽 기자 , 워싱턴=이정은 특파원 , 신진우 기자 입력 2021-08-16 03:00수정 2021-08-16 07:55 카불 포위뒤 “정부와 항복 협상중” 내무장관 “권력 이양” 사실상 항복 한국대사관 폐쇄… 공관원 철수 美, 헬기 동원 자국민 대피 15일 미군 수송헬기 ‘CH-47’ 치누크 헬리콥터가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주재 미국대사관 위를 날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주요 도시를 모두 장악한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이 카불까지 장악하는 것이 가시화되자 대사관 직원과 미 외교관 등을 대피시키기 위한 헬기가 마련됐다. 카불=AP 뉴시스 탈레반, 미군 철수 석달만에 아프간 재장악 아프가니스탄 권력이 20년 만에 다시 이슬람 무장 반군 탈레반에..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사이공보다 치욕" 美 20년 아프간 전쟁 이렇게 끝났다

"사이공보다 치욕" 美 20년 아프간 전쟁 이렇게 끝났다 [중앙일보] 입력 2021.08.16 00:07 수정 2021.08.16 01:19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주의 무장세력인 탈레반이 이 나라의 대부분 지역을 장악한 데 이어 15일 수도 카불에 진입하기 시작했다고 AP·AFP 통신과 BBC·CNN 등이 보도했다. 이날 AFP통신은 아프가니스탄 내무부가 “탈레반에 권력을 평화롭게 넘기겠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백기 투항을 선언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탈레반 협상단이 권력 인수 준비를 위해 대통령궁으로 이동 중”이라고 밝혔다. 미군 철수 발표 4개월 만에…탈레반, 수도 카불 입성 아프간 정부 “평화롭게 권력 이양” 사실상 항복 선언 “대통령은 타지키스탄행”…블링컨 “미군 철수가 국익..

The Citing Articles 2021.08.16

탈레반, 아프간 재점령…美 '베트남전 악몽' 재연 지적

탈레반, 아프간 재점령…美 '베트남전 악몽' 재연 지적 노컷뉴스 CBS노컷뉴스 장성주 기자 입력2021.08.16 06:10 탈레반, 수도 카불 점령…조만간 국가 설립 선포 아프간 대통령, 혼란 속 시민 버리고 도망에 '겁쟁이' 비판 확산 공항에 탈출 행렬 '총성' 들려…한국 대사관 폐쇄 및 철수 '사이공 함락' 속편 지적…블링컨 "명백하게 사이공 아니다" 미군 헬기가 15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 상공을 날고 있다. AP통신 보도 캡처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아프간)의 수도 카불을 장악했다. 아프간 정부가 유혈사태를 피하겠다며 아프간을 떠나면서 미국 주도로 전쟁을 벌인지 20년 만에 원상복구됐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AP통신 등에 따르면, 압둘 사타르 미르자크왈 아프간 내..

The Citing Articles 202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