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26 27

美·호주가 방어해준다는데, 정작 대만 국민의 위기감은...

美·호주가 방어해준다는데, 정작 대만 국민의 위기감은... 군(軍) 복무기간은 고작 4개월 ‘낙엽 쓸기’ ‘잡초 뽑기’로 보내…여론은 “미국이 도와줄 것” “중국, 국제 평판 탓에 침공 못해” 이철민 선임기자 입력 2021.10.26 15:56 이달 초 150대가 넘는 중국의 전투기‧폭격기가 닷새 동안 타이완의 방공식별구역(ADIZ)를 침범하면서, 이른바 ‘타이완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지난 22일 CNN 방송의 타운홀미팅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공격하면, 우리는 타이완을 지킬 의무(commitment)가 있다”고 말한 데 이어, 호주의 피터 더튼 국방장관은 29일 “동맹국 미국의 대응을 따르겠다”고 밝혔다. 타이완 군 병사들이 동부 화롄(花蓮)시의 한 군기지에서 돌격 훈련을 하고 있다...

Others... 2021.10.26

“생가도 새단장 했건만…” 노태우 대구 생가에 추모 발길

“생가도 새단장 했건만…” 노태우 대구 생가에 추모 발길 중앙일보 김윤호.김정석 입력2021.10.26 16:20최종수정2021.10.26 16:27 노태우 전 대통령이 서거한 26일 오후 대구 동구 신용동 노 전 대통령 생가에서 한 방문객이 노 전 대통령 동상을 향해 기도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26일 오후 대구 동구 신용동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 생가 한 쪽에 세워진 노 전 대통령 동상 앞에 한 남성이 두 손을 모으고 고개를 숙였다. 한참을 눈을 감은 채 묵념을 하던 남성은 씁쓸한 표정으로 생가를 쭉 둘러봤다. 노 전 대통령의 동상을 마주보고 묵념을 한 이는 평범한 대구시민 박재운(56·북구 구암동)씨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이곳부터 생각났다는 박씨. 그는 “노 전 대통령이 ..

The Citing Articles 2021.10.26

"노 前대통령 다계통위축증 등 여러 질병으로 별세"

[일문일답]"노 前대통령 다계통위축증 등 여러 질병으로 별세" 뉴시스 백영미 입력2021.10.26 18:51최종수정2021.10.26 18:59 기사내용 요약 서울대병원 26일 기자회견 공식입장 응급실 도착했을 때 통증 반응하는 정도 자택진료 10년 정도 받아…입원 치료도 최근엔 자택진료…가족 한 명 임종 지켜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노태우 전 대통령이 서거한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김연수 병원장이 노 전 대통령 사인 등 관련 내용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고인의 사인은 다계통위축증과 폐렴, 봉와직염 등 숙환이다. 지난 2002년 전립선암 수술을 받은 이후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투병 생활을 이어오던 노 전 대통령은 최근 병세가 악화해 서울대병원에 입원했..

The Citing Articles 2021.10.26

'내란죄' 노태우 국립현충원 안장, 문 대통령에 달렸다

LIVE ISSUE 노태우 전 대통령 별세 '내란죄' 노태우 국립현충원 안장, 문 대통령에 달렸다 입력 2021.10.26 18:35 수정 2021.10.26 19:11 현행법상 불가능... 최종 결정은 국무회의서 靑 "국민 수용성 감안해 정무적 판단 필요" 노태우 前 대통령이 검찰소환조사에 응하기 위해 연희동 자택을 출발하기 앞서 아들 재헌씨, 동생 재우씨로부터 인사를 받는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노태우 전 대통령은 국립현충원에 안장될 수 있을까. 26일 별세한 노 전 대통령은 12·12 군사 쿠데타(내란죄) 주역이었다는 전력 때문에 현행법상 국립묘지 안장 대상이 아니다. 다만 국무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 장례를 국가장(國家葬)으로 치르기로 결정하면 현충원에 안장될 길이 열린다. 전직 대통령의 안장 장..

The Citing Articles 2021.10.26

육사 동기 노태우 별세…"전두환, 아무말 없이 눈물지어"

육사 동기 노태우 별세…"전두환, 아무말 없이 눈물지어" 중앙일보 입력 2021.10.26 18:03 업데이트 2021.10.26 18:14 한영혜 기자 1996년 12·12 및 5·18사건 항소심 선고공판에 출석한 노태우·전두환 전 대통령의 모습.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은 26일 노태우 전 대통령의 부고를 듣고 침묵 속에 눈물을 지었다고 측근이 전했다. 전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이날 오후 연합뉴스를 통해 “노 전 대통령 별세 소식을 접하고 아무 말씀을 하지 않은 채 눈물만 지으셨다고 부인 이순자 여사가 전했다”고 밝혔다. 별도의 애도 메시지를 낼 계획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빈소를 조문할 가능성도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자명예훼손 혐의 등에 대해 재판이 진행 중인 전 전 대통령은 혈액암..

The Citing Articles 2021.10.26

노태우도 10·26에... 42년 전 박정희와 같은 날 떠났다

노태우도 10·26에... 42년 전 박정희와 같은 날 떠났다 김동하 기자 입력 2021.10.26 15:18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을 지낸 노태우 전 대통령이 26일 숨졌다. 사진은 1981년 국군보안사령관 노태우 대장 전역식. /연합뉴스 노태우(89) 전 대통령이 26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이날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9년 10·26 사건으로 서거한지 42년째 되는 날이다. 지병으로 오랜 병상 생활을 해오던 노 전 대통령은 이날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서 삶을 마감했다. 대구 출생인 노 전 대통령은 1951년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고, 1956년 육군 제5보병사단 소대장으로 발령받으며 당시 5사단장이던 박 전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박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1978년 노 전 대통령은 육..

The Citing Articles 2021.10.26

죽마고우에서 2인자까지…노태우, 전두환과 함께한 애증의 역사

죽마고우에서 2인자까지…노태우, 전두환과 함께한 애증의 역사 조아라기자 입력 2021-10-26 17:04수정 2021-10-26 17:18 1996년 12월 16일 쿠데타 및 비자금 항소심 재판. 동아일보DB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전두환 전 대통령과 애증의 관계였다. 막역한 친구 사이였던 두 사람은, 전 전 대통령이 정권을 잡은 뒤 최고통치자와 2인자 관계가 됐다. 두 사람은 1952년 육군사관학교 11기로 입학한 동기다. 다만 군 생활부터 노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보다 한 발씩 늦었다.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에서 대통령 경호실 작전차장보, 보안사령관, 민주정의당 총재 그리고 대통령까지 노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이 맡았던 자리를 5차례 이어받았다. 전두환 정권 시절 노 전 대통령이 2인자 역할을 지..

The Citing Articles 2021.10.26

노태우 영욕의 정치역정…12·12쿠데타, 6·29선언으로 대권

노태우 영욕의 정치역정…12·12쿠데타, 6·29선언으로 대권 유성열기자 , 한상준기자 입력 2021-10-26 15:10수정 2021-10-26 17:27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장 전역식 모습. 오른쪽은 김옥숙 여사. 1981.7.15 동아일보 DB 12·12 군사쿠데타(1979년), 6·29선언(1987년), 3당 합당(1990년), 비자금 사건(1995년)…. 노태우 전 대통령과 관련된 이들 한국 정치의 역사적 사건은 지금도 국민들의 뇌리에 생생할 만큼 충격의 연속이었다. 신군부 세력의 핵심 중 하나로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의 핵심부에 진입한 그는 숱한 정치적 위기를 거친 끝에 육사 11기 동기인 전두환 전 대통령에 이어 1988년 제13대 대통령으로 청와대에 입성했다. 육..

The Citing Articles 2021.10.26

손준성 영장 쳐놓고 이틀간 본인에게 쉬쉬… 법조계 “이건 사기 수사”

손준성 영장 쳐놓고 이틀간 본인에게 쉬쉬… 법조계 “이건 사기 수사” 이정구 기자 입력 2021.10.26 10:06 '고발 사주' 의혹의 핵심 인물인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이 2021년 10월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 관련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공수처)의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두고 법조인들 사이에 ‘전례없는 방식’이란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소환 조사 없이 체포영장을 청구했다가 기각됐고, 체포영장 기각 사흘 만에 구속영장을 청구했기 때문이다. 특히 ‘공수처가 체포영장 청구 사실을 숨기고 피의자를 속인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손..

The Citing Articles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