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 572

김혜경, 법카·심부름 질문엔 대답 않고 “선거 후라도 의혹에 책임”

김혜경, 법카·심부름 질문엔 대답 않고 “선거 후라도 의혹에 책임” 김경필 기자 입력 2022.02.09 17:05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공무원 불법 심부름과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의혹과 관련 사과했다./이덕훈 기자 2022년 2월 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아내 김혜경 씨가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사과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의 아내 김혜경씨가 9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무원 불법 심부름과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의혹 등에 대해 사과했다. 그러나 공무가 아닌 일에 쓰기 위해 공무원을 불법 채용하고 사적 심부름을 시킨 것 등과 관련해 본인이나 이 후보가 관여..

The Citing Articles 2022.02.09

김혜경 회견에… 제보자 “그 많은 음식은 누가 먹었는지 되묻고 싶다”

김혜경 회견에… 제보자 “그 많은 음식은 누가 먹었는지 되묻고 싶다” 김소정 기자 입력 2022.02.09 18:1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아내 김혜경씨가 9일 공무원 불법 심부름,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의혹 등에 대해 사과했다. 하지만 의혹의 제보자인 전 경기도청 7급 공무원은 A씨는 “김혜경씨는 정작 중요한 질문, 꼭 답해야 하는 질문에는 하나도 정확하게 답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잉의전 등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이덕훈 기자 A씨는 이날 측근을 통해 낸 입장문에서 “국민들이 어떻게 보셨을지 모르겠으나 개인적으론 진정성이 느껴지지도 본질을 관통하지도 못한 기자회견이었다”며..

The Citing Articles 2022.02.09

김혜경, 과잉의전 등 각종 논란 사과 “국민께 죄송”

김혜경, 과잉의전 등 각종 논란 사과 “국민께 죄송”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2-02-09 17:03업데이트 2022-02-09 17:5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잉의전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부인 김혜경 씨가 9일 “공직자 배우자로서 모든 일에 조심하고 공과 사를 구분해야 했는데 많이 부족했다”고 사과했다. 다만 사과의 범위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변 없이 “지금 수사와 감사가 진행되고 있다. 실체적 진실이 드러날 때까지 최선을 다해 협조하고 결과에 따라 책임지겠다”고만 했다. 김 씨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들..

The Citing Articles 2022.02.09

이해찬 “文정부가 적폐라니 어디 감히…”

이해찬 “文정부가 적폐라니 어디 감히…”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2-02-09 16:04업데이트 2022-02-09 16:35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집권 시 ‘적폐 수사’를 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에 대해 이해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9일 “어디 감히 문재인 정부가 적폐란 말을 입에 담는단 말이냐”며 격한 반응을 보였다. 이 전 대표는 이날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소통 채널 ‘이재명 플러스’에 칼럼을 올려 “만일 문재인 정부에 적폐라 할 만한 것이 있다면 그 책임의 상당 부분은 윤 후보에게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적폐를 청산한단다. 기가 막히다”라며 “적폐는 오랫동안 기득권을 움켜쥐었던 사람의 부정부패가 썩고 썩어 켜켜이 쌓인 것”이라고 썼다. 이어 “군사독..

The Citing Articles 2022.02.09

尹 “집권하면 文정부 적폐 수사”… 靑·與 “불쾌하다, 정치보복 노골화”

尹 “집권하면 文정부 적폐 수사”… 靑·與 “불쾌하다, 정치보복 노골화” 與 “정치 보복 노골화” 靑 “불쾌하다” 尹 “문제 될 게 없다면 불쾌할 일 없어” 김경필 기자 입력 2022.02.09 13:11 2019년 7월 25일 임명장 수여식을 마친 뒤 환담장으로 이동하는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시 신임 검찰총장.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9일 보도된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집권하면 전 정권 적폐 청산 수사를 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에 대해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가 극도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정치 보복 선언”이라고 반발했고, 청와대는 “불쾌하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인터뷰에서 ‘집권 시 문재인 정부 초기처럼 전(前) 정부에 대한 적폐 청산 수사를 하..

The Citing Articles 2022.02.09

靑 “文정부 적폐수사? 불쾌”…尹 “문제 없다면 뭐가 불쾌한가”

靑 “文정부 적폐수사? 불쾌”…尹 “문제 없다면 뭐가 불쾌한가”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2-02-09 12:11업데이트 2022-02-09 13:53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사진공동취재단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9일 청와대가 문재인 정부 적폐 수사 발언에 불쾌감을 표시한 데 대해 “(문 정부가) 스스로 생각하기에 문제될 게 없다면 불쾌할 게 없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윤 후보는 ‘적폐 수사’를 두고 “상식적인 얘기”라고도 강조했다. 윤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천주교서울대교구청에서 정순택 대주교를 예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새 정부가 들어오면 자연스럽게 전 정부에 있던 일들이 시차가 지나면서 적발되고 문제될 때, 정상적 사법 시스템에 따라서 (수사가) 이뤄지게 돼 있다는 원론적인..

The Citing Articles 2022.02.09

단종 유배지-영월 청령포

◆ 영월 청령포 ◆ ++ 어 제 시 ++ 천추의 원한을 가슴깊이 품은체 적막한 영월땅 황량한 산 속에서 만고의 외로운 혼이 홀로 헤메는데 푸른솔은 옜 동산에 우거 졌구나 고계위의 소나무는 삶계에 늙었고 냇물은 돌에 부딪쳐 소란도 하다 산이 깊어 맹수도 득실 거리니 저물기 전에 사립문을 닫노라 **영월청령포** 계유정난의 후폭풍으로 왕위를 빼았기고 "단종복위 운동"의 실패로 조선 제6대 왕이었던 열일곱살 어린 단종이 유배된 애달픈 한이 서려있는 곳이다. 노산군으로 강봉된 단종은 1457년(세조 3년) 6월 이곳으로 유배되었고 그 해 여름 홍수로 청령포가 침수되자 8월에 영월 관풍헌으로 처소를 옮긴 후 10월에 한 많은 이승을 떠났다. 이 애달픈 역사를 쓰게 만들었던 수양대군, 훗날의 세조에 대한 평가는 춘..

영월 청령포 장릉 [寧越 淸泠浦 莊陵] - 청령포에 흐르는 눈물

문화유산채널 영월 청령포 장릉 단종 청령포에 흐르는 눈물 [ 寧越 淸泠浦 莊陵 ] 종목명칭분류지정(등록)일소재지면적소유자(단체)관리자(단체) 명승 제50호 영월 청령포 장릉 (寧越 淸泠浦 莊陵) 자연유산 / 자연경관 / 지형지질경관 2008년 12월 26일 강원 영월군 남면 광천리 산67-1번지 등 204,241m2(지정구역) 국유 강원 영월군 [네이버 지식백과] 영월 청령포 장릉 단종 [寧越 淸泠浦 莊陵] - 청령포에 흐르는 눈물 (문화유산채널) 종목명칭분류지정(등록)일소재지면적소유자(단체)관리자(단체) 문화유산채널 7분 다큐 "조선왕릉 5부, 청령포[淸泠浦]에 흐르는 눈물, 장릉[莊陵]" 편 영월 청령포는 어린 나이에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의 유배지로 서쪽은 육육봉의 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고 삼..

Wonderful World 2022.02.09

落花(낙화)

ほととぎす [時鳥, 杜鵑, 子規, 不如帰, 歸蜀途 ] 자규[子規], 두견(杜鵑)새는 울음소리가 ‘不如歸去(불여귀거)’라고 들리기 때문에 불여귀[不如帰] 라는... 신하에게 쫓겨난 촉나라 임금 두우가 슬피 울며 죽어 새가 되었으니 '촉나라로 돌아가고 싶어 우는' 귀촉도 [歸蜀道] , '돌아가지 못한 혼"이라하여 불여귀(不如帰)라~... 落花(낙화) 이형기의 시 낙화 이형기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 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분분한 낙화.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 할 때 무성한 녹음과 그리고 머지않아 열매 맺는 가을을 향하여[1] 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 헤어지자 섬세한 손길을 흔들며 하롱하롱 꽃잎이 지는 어느 날..

Luv and Arts 2022.02.09

端宗. 子規詞와 子規詩

#단종 端宗의 #자규사 子規詞와 #자규시 子規詩 ​ 조선왕조 500년 사직 社稷 중 가장 슬픈 역사 歷史의 주인공 主人公인 6대 임금 단종 端宗 (아명 홍위 弘暐 1441~1457년). 일찍 세상을 떠난 부왕 父王 문종 文宗이 1414~1432년 38세 붕어 뒤를 이어 1452년 5월 만 11세의 어린 나이에 임금의 자리에 오른다. ​ 1453년 10월에 어린왕을 보좌하는 고명대신 顧命大臣 김종서를 제일먼저 수양대군이 제거한다. ​ 그리고 황보인을 비롯하여 여러 대신들을 제거한다 ​ 그 이유는 신권이 왕권을 침해했다는 이유와 둘째인 수양대군을 멀리하고 셋째 안평대군과 정사를 논의하며 역모를 꾀한다는 이유였다. ​ 그러니까 표면상의 이유는 정사를 돌볼 능력이 없는 조카 단종의 왕권을 회복 시켜야 한다는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