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 Happiness

청록파 [靑鹿派] 박두진(朴斗鎭)

Jimie 2021. 2. 17. 09:11

청록파 [靑鹿派] 박두진(朴斗鎭)

 

같은 청록파이지만 기독교적 윤리 의식이 바탕에 깔린 박두진(朴斗鎭, 1916~1998)의 자연에 대한 시선은 다른 두 시인과 또 구별된다. 그의 자연은 있는 그대로의 ‘소박한 자연’이 아니라 기독교 신앙에서 빚어진 의연하고 당당한, 강렬한 의지로서의 자연이다. 시인 자신의 말에 따르면 “온 우주에 편만(遍滿)해 있고 그 위에 초월해 있는 한 법칙”의 “주재자(主宰者)의 의지”각주5) 로서의 자연이다.

기독교적 윤리 의식이 바탕에 깔린 시 세계를 펼친 청록파 시인 박두진

 

1916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난 박두진은 1939년 『문장』 6월호에 「향현(香峴)」 · 「묘지송(墓地頌)」 · 「낙엽송(落葉頌)」이, 다음해인 1940년에 「의(蟻)」 · 「들국화」가 추천되어 청록파 시인 가운데 가장 먼저 완료 추천을 받는다. 정지용으로부터 “시단에 하나의 신자연을 소개하여 선자는 법열 이상입니다.”각주6) 라는 극찬을 받은 그는 이후에도 꾸준히 「도봉(道峯)」 · 「별」 · 「푸른 하늘 아래」 · 「설악부(雪岳賦)」 · 「장미의 노래」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시들을 발표한다.

 

해방 뒤 『청록집』 발간에 즈음해 그는 서정주 · 박목월과 더불어 우익 문학 단체인 ‘청문협’에 가입한다. 이어 ‘문협’에 가담해 시 분과 위원장으로 피선되기도 하지만, 그는 단체의 활동이나 정치보다는 등산과 수석 채집, 서예에 더욱 몰두한다. 이렇게 정적인 성격의 소유자인 박두진에게도 오랜 암흑기에서의 해방은 강렬한 동적 심상을 불러일으켜 1949년에 펴낸 첫 단독 시집인 『해』에서는 여전히 산을 소재로 하면서도 예전처럼 누워 침묵하는 산의 이미지와는 다른, 이글이글 타는 해를 솟아오르게 하는 생명력이 충만한 산을 노래한다.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넘어 산 넘어서 어둠을 살라먹고, 산 넘어서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먹고, 이글이글 앳된 얼굴 해야 솟아라. // 달밤이 싫여, 달밤이 싫여,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싫여, 아무도 없는 뜰에 달밤이 나는 싫여······ // 해야, 고운 해야, 늬가 오면 늬가사 오면, 나는 나는 청산이 좋아라.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이 좋아라, 청산이 있으면 홀로래도 좋아라.

박두진, 「해」, 『해』(1949)

 

어두운 현실을 뒤로하고 내일에 대한 희망을 노래한 박두진의 첫 단독 시집 〈해〉

 

이처럼 「해」는 상징과 의인화를 통해 어두운 과거를 뒤로하고 밝고 활기찬 내일에 대한 희망을 노래한 시다. 이런 소박한 의미를 좀더 파헤쳐 들어가보면 ‘해’는 근원적이며 영원한 절대자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가 솟기를 기다리는 신념에 찬 시인을 만날 수 있다.

두진의 특이성은 그의 구의적(究意的) 귀의(歸依)가 다른 동양 시인들에서처럼 자연에의 동화 법칙에 의하지 않는 데 있다. 그도 물론 항상 자연의 품속에 들어가 살기는 한다. 그리고 “영원의 어머니”라고 부르기까지도 한다. 그러나 그는 거기서 다시 “다른 태양”이 솟아오르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메시야’가 재림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김동리, 「자연의 발견」, 『문학과 인간』(청운사, 1952)

 

그는 1953년에 시집 『오도』를, 1956년에 『박두진 시선』을 펴내 같은 해 제4회 자유 문학상을 받는다. 이후 연세대 교수로 재직하던 박두진은 4·19 때 학원 분규로 교수직을 사퇴한다. 1962년과 1963년에 각각 발간한 시집 『거미와 성좌(星座)』 · 『인간 밀림』에서 그는 드문드문 현실에 대한 자각을 보이기 시작한다. 특히 「거미와 성좌」에서는 “여덟 개의 발끝으로 하는 여덟 차례의 간음”이나, 추녀 끝에서 벗나무 가지까지 점착성 분비물과 포망을 치며 일하는 거미의 생태를 통해 고통스런 현실과 그 속에서 노동으로 살아가는 집요한 삶의 의지를 그려낸다.

 

  • 1 1956년에 나온 〈박두진 시선〉
  • 2 거미의 생태를 통해 고통스런 현실과 노동으로 살아가는 집요한 삶의 의지를 묘사한 〈거미와 성좌〉

  

 

박두진은 이후 우석대와 이화여대를 거쳐 다시 연세대 교수로 재직하게 된다. 그 동안 자신의 본령은 역시 자연이라는 것을 깨달은 듯 1967년에 발간한 시집 『하얀 날개』에서 그는 다시 자연으로 귀의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그러나 이 시집에 담긴 자연은 과거의 산이나 해 또는 바다 같은 광활한 대상이 아니라 꽃이나 새 같은 소박한 자연이다. 즉, 꽃이 지거나 피는 일 같은 작고 순간적인 대상을 통해 영원을 발견해나가는 것이 시인의 몫이 된 것이다. 한동안의 공백을 거쳐 1973년에 펴낸 시집 『고산 식물(高山植物)』과 『수석 열전(水石列傳)』에서 박두진은 자연과 인간 및 사회 현실을 두루 시 속에 담게 되며, 아울러 이들을 절대 경지로 끌어올리려는 끈질긴 노력을 보여준다.

 

이후에도 그는 1976년 『속 수석 열전』, 1977년 『야생대(野生帶)』, 1981년 『예레미아의 노래』, 1981년 『포옹 무한(抱擁無限)』, 1981년 『박두진 시집』 등을 꾸준히 펴낸다. 그는 시집 외에도 틈틈이 수필집 『시인의 고향』 · 『생각하는 갈대』 · 『언덕에 이는 바람』과 시론집 『시와 사랑』 · 『한국 현대 시론』 등을 내놓아 성실한 문학인으로서 많은 동료와 후학에게 귀감이 된다. 1993년 제15회 외솔상, 1997년 제1회 아시아 기독교 문학상 등을 받은 박두진은 1998년에 여든둘의 나이로 숨진다.

 

1971년 덕소에서 작가 박영준(오른쪽)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