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청해부대 301명 중 247명 코로나 확진…전체 82%
동아닷컴 입력 2021-07-19 08:55수정 2021-07-19 09:01
청해부대 301명 중 247명 코로나 19 확진…전체 82%
< 동아닷컴 >
[단독]청해부대 68명 확진… 軍 “총 200명 넘을수도”
신규진 기자 ,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입력 2021-07-19 03:00수정 2021-07-19 05:32
결과 확인된 101명 중 68명 양성
나머지 200명도 확진 속출할 듯
초유의 파병함정 집단감염 현실화
“軍지휘부 무책임” 거센 비판여론
청해부대 전원 데려올 수송기 2대 출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 승조원 301명 전원을 귀국시키는 임무를 맡은 장병들이 18일 오후 부산 김해국제공항의 공군5공중기동비행단 주기장(駐機場)에서 공군의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KC-330)에 탑승하고 있다. 군 당국은 이날 KC-330 2대를 문무대왕함이 있는 아프리카 해역으로 급파했다. 국방부 제공
아프리카 일대에 파병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400t급 구축함)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결과가 나온 대상자의 3분의 2 이상인 6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초유의 해외 파병 함정 내 집단 감염이 현실화됐다. 파병한 지 4개월 넘게 군 지휘부가 백신 접종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지 않은 ‘요행 방역’ 태도가 이번 사태를 불렀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청해부대는 첫 감기 환자 발생 8일 뒤에야 이를 상부에 처음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군 당국에 따르면 이날 현지 보건당국의 유전자증폭(PCR) 검사 결과 61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첫 확진 환자가 발생한 15일 이후 사흘 만에 기존 확진자 7명을 포함해 검사 결과가 나온 101명 가운데 68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 군 내부에선 아직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200명에서도 추가 감염자가 속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로선 전체 승조원 301명 중 200명 이상이 확진 판정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했다. 폐렴 의심 증세를 보이는 7명을 포함해 현지 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인 승조원도 15명으로 늘어났다. 입원 환자 중 확진자는 3명이지만 나머지 12명도 확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들은 고열과 두통, 근육통 등 증상이 심해 집중치료를 받고 있다. 상대적으로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유증상자 80여 명은 함정 안에서 코호트(동일집단) 격리되고 있다.
앞서 군 당국은 백신 접종을 하지 않아 함정 내 집단 감염을 방치했다는 비판에 대해 접종 이상 반응 시 대처가 어렵고 백신 보관이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군 내부에서도 “책임을 피하기 위한 해명”이라는 반론이 적지 않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지휘부의 의지만 있었어도 공군 급유수송기로 화이자 등 백신을 수송하거나 아랍에미리트(UAE) 등 현지 항구에 기항할 때 백신을 접종하는 등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는 것.
함정에서 첫 감기 환자가 나온 2일 청해부대는 작전지휘부인 합동참모본부에 관련 보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선 군 지휘부의 안일한 판단과 함께 청해부대에서 첫 환자 발생 뒤 신속한 PCR 검사를 통해 확진자를 격리하는 초동 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요기사
감기증상 장병 발생 8일 뒤에야 보고
청해부대 집단감염 현실화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은 승조원들이 아프리카 해역 인근 기항지에 입항해 현지인을 접촉한 다음 날인 2일 최초 감기 증상을 보인 인원이 나왔으나 이를 합동참모본부에 보고하지 않았다.
감기 증세를 호소한 승조원에 대해 별도의 격리 조치 없이 감기약만 투여하던 청해부대는 8일 뒤인 10일 함정 안에서 같은 증상을 보인 40여 명이 추가로 나오자 합참에 관련 내용을 보고했다. 합참은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즉각 실시하라”고 지시했고 PCR 검사는 사흘 뒤인 13일 이뤄졌다. 첫 환자 발생 직후 보고가 이뤄져 합참이 제때 PCR 검사 지시를 내리고 청해부대가 시행했다면 집단 감염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군 안팎에서 나온다. 군 관계자는 “코로나19 방역에 취약한 현지인들을 접촉한 뒤 의심 증세가 나왔으면 과할 정도의 방역 조치가 이뤄졌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청해부대원 가족 A 씨는 18일 채널A 인터뷰에서 “감기 증상이 나왔을 때 (코로나19) 체크를 했으면 이건(이런 상황은) 아니었을 텐데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심정으로 만날 뒤에 최선을 다한다고 하니까”라고 비판했다. 그는 “4월 우리 군에 백신이 조달됐다니 그때라도 파병 부대에 보내줬으면 이런 상황을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라고 지적했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2021-07-19 04:15:34
군대가 백신을 못맞았다는것에 무슨 핑게가있을 수 있겠는가? 전세계 유일한 분단국가 상황에선 있을 수가 없는 일이다.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한다. 군내 성폭행 사건이 끊이지도 않고 있는것과 연계해서 '전군의 해이'가 우려된다. 도대체 그 많은 백신 북에 넘어간거냐??
2021-07-19 04:45:13
시간만 나면 북에 백신 주자며
인도적 운운 한 넘들
정작 귀한 우리의 장병들에게는 1도 관심없는 넘들
확진된 장병들은 물론이고 그 부모들 심정이 어떨지 생각이나 해봤나
국가가 이용만하고 버렸다는 배신감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
반동의 무리들을 남김없이 전부 패 죽여야 한다
2021-07-19 06:23:54
최우선으로 해외주둔군 챙기는 미군들 봐라. 한국의방역개념 속에는 아예 해외국군 방역은 계획자체가 없었다. ㅋ 이따위로 하는데 의무병역의무 주장할 수 있나? 뭉가정권 알아줘야지.
2021-07-19 04:56:08
중국인들한테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하며 놔주는 백신 우리 군대에도 좀 진즉 놔주면 좋았자나? ㅋㅋ 문재인과 여당 뻘게이들아. ㅋ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재 "나와 털끝만 닿아도 검언유착···檢, 매일 한동훈만 캤다" (0) | 2021.07.19 |
---|---|
8·15집회 땐 통신·카드·CCTV로 이잡듯… 민노총엔 팔짱 (0) | 2021.07.19 |
"북한 줄 백신은 있고 청해부대 줄 백신 없나" 정치권 난타전 (0) | 2021.07.19 |
文대통령에 '자위행위' 망언한 日 외교관…"매우 유감" 입장이 끝? (0) | 2021.07.18 |
일본 대사관은 ‘文자위’ 발언…중국대사는 ‘대선개입’…동네북 된 대한文국 (0) | 2021.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