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발/ 류치환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向하여 흔드는
영원永遠한 노스탈쟈의 손수건.
순정純情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理念의 푯대 끝에
애수哀愁는 백로白鷺처럼 날개를 펴다.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닯은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토영統營의 그림자가 아른거리는
잿빛 주문진注文津 하늘과 바다...
광야에 와서 / 유지환
흥안령(興安嶺) 가까운 북변(北邊)의
이 광막(曠漠)한 벌판 끝에 와서
죽어도 뉘우치지 않으려는 마음 위에
오늘은 이레째 암수(暗愁)의 비 내리고
내 망나니의 본받아
화툿장을 뒤치고
담배를 눌러 꺼도
마음은 속으로 끝없이 울리노니
아아 이는 다시 나를 과실(過失)함이러뇨
이미 온갖 것을 저버리고
사람도 나도 접어 주지 않으려는 이 자학(自虐)의 길에
내 열 번 패망(敗亡)의 인생을 버려도 좋으련만
아아 이 회오(悔悟)의 앓음을 어디메 호읍(號泣)할 곳 없어
말없이 자리를 일어나와 문을 열고 서면
나의 탈주(脫走)할 사념(思念)의 하늘도 보이지 않고
정거장(停車場)도 이백 리(二百里) 밖
암담한 진창에 갇힌 철벽(鐵壁) 같은 절망(絶望)의 광야(曠野)!
생명의 서(1장) / 유치환
나의 지식이 독한 회의(懷疑)를 구하지 못하고
내 또한 삶의 애증(愛憎)을 다 짐지지 못하여
병든 나무처럼 생명이 부대낄 때
저 머나먼 아라비아의 사막으로 나는 가자
거기는 한 번 뜬 백일(百日)이 불사신 같이 작열하고
일체가 모래 속에 사멸한 영겁의 허적(虛寂)에
오직 아라의 신(神)만이
밤마다 고민하고 방황하는 열사(熱沙)의 끝
그 열렬한 고독 가운데
옷자락을 나부끼고 호을로 서면
운명처럼 반드시『나』와 대면케 될지니
하여 『나』란 나의 생명이란
그 원시의 본연한 자태를 다시 배우지 못하거든
차라리 나는 어느 사구(沙丘)에 회한(悔恨) 없는
백골을 쪼이리라
학(鶴) / 유치환
나는 학이로다
박모(薄暮)의 수묵색 거리를 가량이면
슬픔은 멍인 양 목줄기에 맺히어
소리도 소리도 낼 수 없누나
저마다 저마다 마음 속 적은 고향을 안고
창창(蒼蒼)한 담채화(淡彩畵) 속으로 흘러가건만
나는 향수할 가나안의 복된 길도 모르고
꿈 푸르는 솔바람 소리만
아득한 풍랑인 양 머리에 설레노니
깃은 남루하여 올빼미처럼 춥고
자랑은 호올로 높으고 슬프기만 하여
내 타고남은 차라리 욕되도다
어둑한 저잣가에 지향없이 서량이면
우러러 밤 서리와 별빛을 이고
나는 한 오래기 갈대인 양
- 마르는 학이로다
바위 / 유치환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아예 애련(愛憐)에 물들지 않고
희노(喜怒)에 움직이지 않고
비와 바람에 깎이는 대로
억년(憶年) 비정의 함묵(緘默)에
안으로 안으로만 채찍질하여
드디어 생명도 망각하고
흐르는 구름
머언 원뢰(遠雷)
꿈꾸어도 노래하지 않고
두 쪽으로 깨뜨려져도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리라
시인에게 / 유치환
영원을 나는 믿지 않는다.
그것은 정수리 위에 도사려
내가 목숨을 목숨함에는
솔개에게 모자보다 무연(無緣)한 것.
이 날 짐짓
살아 있으므로 살아야 되는 무가내한 설정에
비바람에 보둠긴 나무.
햇빛에 잎새 같은 열망.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그 짧은 인생의 사무치는 뜨거움에
차라리 나는 가두 경세가(經世家).
마침내 부유의 목숨대로
보라빛 한 모금 다비(茶毘)되어
영원의 희멀건 상판을 기어 사라질 날이
얼마나 시원한 소진(消盡)이랴.
그러기에 시인이여
오늘 아픈 인생과는 아예 무관한 너는
예술과 더불어 곰곰히 영원하라.
-------------------------------------------------------------------------------------------------------------
-청마 유치환
1908 ~ 1967
극작가 유치진의 동생.
경남 통영(충무) 생.
동래고보 수학. 연희전문 중퇴.
1931년 [문예월간]에 <정적(靜寂)>을 발표 등단. 1936년 [조선문단]에 <깃발>발표.
서정주와 함께 생명파의 한 사람으로 동인지 [생리]를 간행, 그러나, [시인부락] 동인으로는 활동 하지 않음.
경향 : 허무를 극복하려는 남성적, 의지적인 시.
- 사람의 삶 어디에나 있는 뉘우침, 외로움, 두려움, 번민 등의 일체로부터 벗어난 어떤 절대적인 경지를 갈구했으며, 그 해결의 길은 일체의 생명적인 것에 대한 허무주의적 자각에서 찾았다.
1960년대에 부산에 정착, 부산고, 경남여고, 부산 남 여상 등 에서 교사, 교장으로 재직
시집 : [청마시집](1940), [울릉도](1948), [보병과 더불어](1951) 등
●생명파(生命派) : <시인부락>(1936) 동인과 <생리>(1937)를 발간한 유치환을 중심으로 하여 인간 생명의 의지를 추구한 1930년대 문학인을 통틀어 일컫는 말. '시문학파'의 기교주의와 '주지주의시파'의 문명에 대한 시에 반발하여 생겨났다.
생명파의 대표 작가로는 서정주, 유치환, 김동리 등이 꼽힌다.
'Korean A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보니스 - 추억 \둘다섯 - 먼 훗날 (0) | 2022.07.28 |
---|---|
일기(日記: Diary)? (0) | 2022.07.28 |
이조년(李兆年)의 다정가(多情歌)/이직 (李稷)의 오로시(烏鷺詩) (0) | 2022.07.11 |
새벽길 -남정희 - 순정 (0) | 2022.07.05 |
이미자-내 고향이 좋아요-남정희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