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 尹 40.1% 李 36.9% [넥스트리서치] 尹 36.1% 李 31.6%
머니투데이‧한국갤럽이 9일 발표한 대선 후보 4자대결 조사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40.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36.9%,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10.0%, 심상정 정의당 후보 3.9%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3주 전 조사에 비해 윤 후보(36.1→40.1%)는 4%포인트 올랐고 이 후보(34.9→36.9%)는 2%포인트 오르면서 두 후보의 차이가 2%포인트에서 3.2%포인트로 다소 벌어졌지만 여전히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이었다. 안 후보(13.5→10.0%)는 3.5%포인트 하락했다.
![](https://blog.kakaocdn.net/dn/6QtzA/btrsOhhiqKm/rJlNjhs7KKkNysrrkpnOV0/img.jpg)
연령별로는 20대에서 윤 후보(31.3%)가 이 후보(22.1%)를 앞섰고 30대도 윤 후보 37.9%, 이 후보는 33.0%였다. 60대 이상도 윤 후보(57.2%)가 이 후보(30.8%)를 앞섰다. 반면 40대는 이 후보 48.9%, 윤 후보 29.2%였고 50대도 이 후보 50.6%, 윤 후보 34.0% 등으로 이 후보가 우세했다.
윤석열‧안철수 후보 단일화가 윤 후보로 이뤄질 경우 3자 대결에서 윤 후보(44.8%)가 이 후보(39.5%)보다 5.3%포인트 높았고 심 후보는 7.5%였다. 안 후보로 단일화가 이뤄지면 안 후보(45.6%)가 이 후보(35.9%)를 9.7%포인트 앞섰고 심 후보는 6.6%였다. 야권 단일 후보 선호도는 안 후보 50.6%, 윤 후보 42.6%였다. 이 조사에선 정권교체 여론이 54.6%로 정권유지(37.5%)에 비해 17.1%포인트 높았다.
한편 같은 날 MBN·매일경제‧넥스트리서치가 발표한 조사에선 대선 후보 4자대결 지지율이 윤석열 후보 36.1%, 이재명 후보 31.6%, 안철수 후보 10.0%, 심상정 후보 3.0% 등이었다. 이 조사에서도 윤 후보와 이 후보의 지지율 차이는 오차범위 내인 5%포인트였다.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계속 지지하겠는가’란 질문엔 ‘계속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이 후보 지지자가 86.0%, 윤 후보 지지자는 80.8%였다.
‘바람직한 대선 결과’는 야당으로의 정권 교체(52.8%)가 여당의 정권 재창출(35.5%)보다 17.3%포인트 높았다. ‘후보 단일화’에 대해선 안철수 후보가 이재명 후보와 단일화 또는 안철수 후보가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를 할 경우에 대해 각각 조사했다. 이재명‧안철수 후보 단일화에 대해선 ‘두 후보 간 단일화가 어려울 것’이란 평가가 59.2%로 과반수였고 ‘이재명 후보로 단일화 될 것’ 20.6%,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 될 것’ 13.6% 등이었다. 윤석열‧안철수 후보 단일화에 대해선 ‘두 후보 간 단일화가 어려울 것’이 37.7%였고 ‘윤석열 후보로 단일화 될 것’ 31.7%,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 될 것’ 25.6% 등이었다.
머니투데이‧한국갤럽은 7~8일에 전국 유권자 1007명 대상의 전화 면접원 조사로 했고 응답률은 17.7%다. MBN·매일경제신문‧넥스트리서치 조사도 7~8일에 전국 유권자 1001명 대상의 전화 면접원 조사로 했고 응답률 18.9%다. 두 조사 모두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동훈 `일제 독립운동가` 빗대며 중용·적폐수사 열어둔 尹…與 "측근 기용·보복 선언" (0) | 2022.02.09 |
---|---|
한국노총 집행부 "李 지지" 선언에…부산지역 조합원 1490명 "尹 지지" 반기 (0) | 2022.02.09 |
김혜경, 법카·심부름 질문엔 대답 않고 “선거 후라도 의혹에 책임” (0) | 2022.02.09 |
김혜경 회견에… 제보자 “그 많은 음식은 누가 먹었는지 되묻고 싶다” (0) | 2022.02.09 |
김혜경, 과잉의전 등 각종 논란 사과 “국민께 죄송” (0)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