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文 '올림픽 외교보이콧 선 긋기'에 "우리는 우리 결정"
김난영 입력 2021. 12. 14. 04:44
기사내용 요약
"한국 대통령 결정은 그들 몫…美, 발표 전 동맹과 협의했다"
[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2.13. amin2@newsis.com
[워싱턴=뉴시스]김난영 특파원 = 미국 국무부가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는다는 문재인 대통령 발언과 관련, 결정은 각국의 몫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절리나 포터 국무부 부대변인은 13일(현지시간) 전화 브리핑에서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는다는 문 대통령 발언이 동맹에 영향을 주는지에 관해 "우리는 동맹·파트너국가와 분명히 협의를 해 왔다"라고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한국·호주 정상회담 이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여부에 관해 "한국 정부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라고 말한 바 있다. 미국은 보이콧 여부는 각국이 결정할 몫이라고 강조해 왔다.
포터 부대변인은 이후 비슷한 취지의 질문에 "올림픽 참석에 관한 한국 대통령의 결정은 그들 몫"이라고 했다. 또 "물론 우리는 우리의 결정을 했고, 백악관이 발표하기 전에 동맹·파트너국가와 협의했다"라고 반복했다.
그는 아울러 신장 지역 인권 문제 등을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결정 이유로 재차 거론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 9월 유엔 총회에서 제안한 종전 선언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중국, 북한 모두 원칙적으로 찬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북한이 이른바 '적대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는 게 문 대통령 설명이다.
포터 부대변인은 이에 관해서는 "북한과의 외교와 대화를 통해 한반도의 영속적인 평화를 달성하는 데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라며 조 바이든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인 '조정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을 다시금 거론했다.
그는 이어 "우리에게는 분명 북한을 향한 적대적 의도가 없다"라며 "선제 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다. 그리고 북한이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희망한다"라고 했다. 또 대북 대화에 관해 한국·일본 등과 계속 협의하리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文정부, 87년 이후 가장 후진적 정권… 법치 아닌 인치” (0) | 2021.12.15 |
---|---|
文 귀국만 기다린다… 아무도 결단 않는 ‘특단 방역 대책’ (0) | 2021.12.15 |
실수였나, 계산이었나…李, 이번엔 4번이나 "전두환 범죄자" (0) | 2021.12.14 |
北 정찰총국 대좌 출신 “청와대 근무 北 공작원은 냉난방 기술자” (0) | 2021.12.14 |
방역패스도 먹통… “4개월간 뭐했나” 분통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