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치를 찾습니다 [신동욱 앵커의 시선]
5,642 views
Oct 7,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wQeHuj1JA40
뉴스TVCHOSUN
966K subscribers
베트남 호치민에서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명소, 도심의 아름다운 성당과 우체국입니다. 19세기 식민지 시절 프랑스가 지은 노트르담 대성당과 중앙우체국 사이 광장은, 그래서 언제나 사람들로 붐빕니다.
해질 녘 광장에서, 피라미드처럼 빵을 쌓아올린 쟁반을, 곡예하듯 머리에 인 행상이 어느 여행자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곁에 낀 플라스틱 통에서, 종일 뙤약볕에서 빵 판 돈을 꺼내 한 장 한 장 헤아립니다. 그에게 이보다 행복한 순간이 있을까요.
시인 앞으로, 걸인이 온몸으로 기어갑니다. 그가 밀고 가는 돈통에 몇 장의 지폐가 소복이 쌓여 있습니다. 그런데 누군가 돈통을 들고 달아나자 언제 바닥을 기었냐는 듯 벌떡 일어나, 쫓아가 붙잡습니다.
"미친 듯이 주먹을 날리며 무섭게 세상을 일갈하는 것이었습니다. 너, 임마! 인생 똑바로 살아!"
지난해 횡령 배임 사기를 비롯한 여덟 가지 혐의로 기소됐던 윤미향 의원의 공소장이 3백79일 만에 공개됐습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이용했다는 의혹에 국민적 관심이 쏠렸지만, 법무부는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내세워 공개를 거부해왔습니다.
그러는 사이 윤 의원은, 위안부 단체의 명예를 훼손하면 처벌한다는 법안 발의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공소장 범죄일람표를 보면 윤 의원은, 허위서류를 비롯한 부정한 방법으로 국고 보조금을 받았고, 정식 모금 등록도 하지 않은 채 후원금을 모집하거나 개인계좌로 받은 것으로 돼 있습니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조목조목 적시된 억대 후원금의 유용혐의 내역들입니다. 갈빗집, 요가 강사비, 발마시지에 과태료, 소득세 내는 데까지 썼다는 겁니다. 설에는 '선물한과' 용도로 남편 계좌에 92만 원이 입금되는가 하면, 모금액 일부가 딸 계좌로 옮겨졌다는 대목도 있습니다.
공소장이 왜 이렇게 오랫동안 공개되지 않았는지 한편으론 이해가 될 듯도 합니다. 1년 전 공소장이 공개되었다면 과연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요? 그리고 "공적 업무와 복리후생 비용" 이라는 윤 의원의 해명에 고개를 끄덕일 사람이 또 몇이나 될까요?
윤 의원은 당초 의혹이 불거지자 "친일세력의 부당한 공격"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는지요? 이 돈이 과연 어떤 돈입니까? 경악할 수준의 공소장이 공개되었는데도 민주당이 굳게 입을 다물고 있는 건 또 무슨 연유일까요?
"친일세력의 최후공세"라던 5선 중진의원, "신상털기식 의혹제기에 굴복하지 말라"던 당 대표… 그들은 다 어디로 갔습니까.
윤미향 공소장 보니…후원금으로 갈비에 마사지까지
217차례 걸쳐 1억37만원 횡령
삼계탕집·돼지고기집·과자점·마사지숍 내역도
“위안부 피해자 심신장애 이용해 기부하게 해”
입력 : 2021-10-05 10:22/수정 : 2021-10-05 11:52
정의기억연대 후원금 유용 혐의 등으로 기소된 무소속 윤미향 의원이 9월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부지법에서 열리는 2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보조금 부정수령 및 기부금 횡령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미향 무소속 의원의 구체적인 횡령 내역이 공소장에 담겼다. 윤 의원은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해 모금된 돈을 고깃집과 삼계탕집, 과자점, 마사지숍에서 쓰거나 개인 교통 과태료 납부에 사용했다.
5일 국회 법사위 소속 국민의힘 전주혜 의원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윤 의원 공소장 범죄일람표에는 윤 의원이 2011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217차례에 걸쳐 총 1억37만원을 횡령한 구체적인 내용이 담겼다. 윤 의원은 후원금이 들어온 체크카드를 개인적으로 이용하거나 후원금을 개인 계좌로 이체하는 식으로 횡령했다.
범죄일람표를 보면 윤 의원은 2015년 3월 1일 ‘A갈비’ 가게에서 26만원을 체크카드로 결제했다. 같은 달 23일엔 돼지고기 전문점으로 추정되는 ‘B돈(豚)’ 가게에서 18만4000원을, ‘C과자점’에서 4만5000원을 썼다. 같은 해 7월엔 발마사지숍으로 보이는 ‘D풋샵’에서 9만원을 결제했고, 8월엔 ‘E삼계탕’에서 5만2000원을 썼다.
윤 의원은 후원금으로 개인 과태료를 내기도 했다. 2016년 4월 두 차례에 걸쳐 속도위반 교통 과태료 8만원과 3만2000원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계좌에서 빼서 납부했다. 그해 6월에는 같은 방식으로 통행방법위반 과태료 6만원을 냈다. 2018년엔 정대협 계좌에서 25만원을 개인 계좌로 보내며 ‘윤미향 대표 종합소득세 납부’라고 적시했다.
검찰은 이외에 윤 의원이 위안부 피해자의 심신장애를 이용해 피해자로 하여금 상당 금액을 정의기억재단에 기부토록 했다고 봤다. 범죄일람표에 따르면 정의기억재단은 위의 방식으로 9차례에 걸쳐 총 7920만원의 재산상 이익을 취득했다.
윤 의원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대협 대표와 그 후신인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역임하면서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중 1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았다. 또 정부·지자체의 보조금 수억원을 부정수수한 혐의 등 8가지 혐의로 지난해 9월 기소됐다. 그는 지난 8월 열린 첫 공판에서 횡령 혐의를 포함한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지난 30년 동안 활동가로 부끄러움 없이 살아왔다”고 주장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국민일보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개월만에 삭제된 ‘민간 초과이익 환수’ 조항… 이재명이 결재했나 (0) | 2021.10.07 |
---|---|
노벨과 알카에다 (0) | 2021.10.07 |
박근혜 내곡동 자택, ‘윤석열 테마’ 아이오케이가 샀다 (0) | 2021.10.06 |
조셉 나이 “한국, 소프트파워 타고나 ...중국, 年 100억불 썼지만 못해” (0) | 2021.10.06 |
박근혜 내곡동 사저, 고현정·조인성 소속사가 38억에 샀다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