됭케르크
중앙일보
입력 2021.08.25 00:18
‘자동차 한 대와 승객 4명의 편도 운임이 최저 81유로(식사 포함).’
프랑스 됭케르크(Dunkerque)와 영국 도버 간 카페리를 운영하는 DFDS 홈페이지 전면에 자랑스레 내걸린 문구다. 인구 8만여 명의 작은 도시 됭케르크는 칼레와 함께 도버해협 너머로 사람들을 실어 보내는 대표적 항구 도시다. 이곳에서 배에 오른 승객은 식사와 면세 쇼핑을 즐기면서 유유자적 두 시간을 보내면 영국에 도착할 수 있다.
하지만 1940년 5월의 상황은 전혀 달랐다. 영국·프랑스 등의 연합군 수십만 명이 됭케르크에서 애타게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었다. 연전연패한 유럽 각지의 연합군은 3면에서 포위망을 좁혀오는 독일군에 밀려 독 안에 든 쥐 꼴로 이 좁은 항구 도시에 밀집했다. 해상 탈출이 가능한 프랑스 항구 도시 중 칼레와 볼로뉴쉬르메르는 이미 독일군 수중에 떨어진 상황이었다. 됭케르크는 유일하게 뚫려있던 면(面)이자 점(點)이었다.
하지만 배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영국 정부는 선박 징발령을 내렸고 국민은 뜨겁게 호응했다. 정부가 요구한 건 배였지만, 영국인들은 배만 보내지 않았다. 어선, 화물선, 유람선, 레저용 요트에 이르기까지 민간 선박 650여 척이 위험을 무릅쓴 선주들과 함께 됭케르크로 향했다. 해군 함정 220여 척을 포함해 900척에 가까운 배들은 5월 27일부터 6월 4일까지 군사 33만여 명을 나눠 싣고 영국으로 귀환했다. 당시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의 철수작전이었다. 이때 생환한 병력은 이후 노르망디 상륙작전 성공과 종국적인 연합군 승리의 발판이 됐다.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영화 ‘덩케르크’(2017)로 새삼 익숙해진 이야기다.
분수대
탈레반의 표적이 된 친미(親美) 아프가니스탄인 구출 작전에 이 도시의 이름이 붙었다. 퇴역군인 등 ‘디지털 됭케르크’라는 이름의 이 구출작전 참여자들이 한 뼘의 바다도 없는 아프간에 보내는 건 배가 아니라 디지털 정보다. 이들은 소셜미디어(SNS)에서 정보를 모으고 위성사진을 분석해 남겨진 이들에게 탈레반 회피 경로를 알려주고 있다. 최대한 많은 이들이 정보의 방주를 타고 국경을 무사히 넘기를 바라본다. 강고한 반(反)이슬람 정서의 벽을 뚫는 작업은 일단 살아남은 뒤에 고민할 일이다.
박진석 사회에디터
maria** 2021-08-25 19:50
정말 눈물이 왈칵! 스마트됭케르크의 시대구나~
natl1** 2021-08-25 08:14
놀런 감독의 명작 '덩케르크'의 명장면. 천신만고 끝에 살아 돌아온 젊은 병사들이 침통하게 시내를 행군하고 있는데 한 시민이 위로의 말을 건넨다. "신경 쓰지 말게. 우린 아니까." 그러자 그 병사가 대답한다. "저희는 그냥 살아 돌아왔는데요?" 이때 까닭 모르게 왈칵 눈물이 났다. 지금 우리 군대의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
Dunkirk
This article is about the French commune. For the World War II evacuation, Dunkirk Evacuation.
Dunkirk in World War I
Dunkirk's port was used extensively during the war by British forces who brought in dock workers from, among other places, Egypt and China.
Dunkirk in World War II Battle of Dunkirk and Dunkirk evacuatio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in the May 1940 Battle of France, the British Expeditionary Force (BEF), while aiding the French and Belgian armies, were forced to retreat in the face of the overpowering German Panzer attacks.
Fighting in Belgium and France, the BEF and a portion of the French Army became outflanked by the Germans and retreated to the area around the port of Dunkirk.
More than 400,000 soldiers were trapped in the pocket as the German Army closed in for the kill. Unexpectedly, the German Panzer attack halted for several days at a critical juncture. For years, it was assumed that Adolf Hitler ordered the German Army to suspend the attack, favouring bombardment by the Luftwaffe.
Dunkirk (UK: /dʌnˈkɜːrk/, US: /ˈdʌnkɜːrk/;[3][4] French: Dunkerque [dæ̃kɛʁk] ; French Flemish: Duunkerke; Dutch: Duinkerke(n) [ˈdœynkɛrkə(n)] ) is a commune in Nord, a French department in northern France.
It lies 10 kilometres (6.2 mi) from the Belgian border. It has the third-largest French harbour. The population of the commune at the 2016 census was 91,412.
*commune+[부사]/commune+[전치사]+[명사] (격식)
[남과 친밀하게] 이야기하다, 이야기를 나누다, [자연·신 등과] 마음이 통하다, 친하게 교제하다[together/with ‥]
- commune with nature 자연을 마음의 벗으로 삼다
- commune with oneself 심사숙고하다.
*commune
1. 코뮌 2. (서구 여러 나라의) 코뮌 3. 생활 공동체 4. 교감
5.파리 혁명 정부 (the Commune), 파리 코뮌(the Commune of Paris, the Paris Commune)
6. (중국의) 인민 공사(people's commune)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로 엘니뇨·라니냐 현상 사라질수도" (0) | 2021.08.27 |
---|---|
대한민국을 부끄럽게 만드는 사람들 (0) | 2021.08.27 |
아비로서의 고통 (0) | 2021.08.27 |
조국 母 “십자가 못 박힌 예수님 보던 성모님 마음 2년 체험” (0) | 2021.08.27 |
'강행 처리' D-4 언론중재법…與에서 한숨 나오는 이유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