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 별세
“자유와 평화엔 공짜가 없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 손효주기자 입력 2020-07-11 01:25수정 2020-07-11 03:37
평양 입성한 백선엽 장군 1950년 10월 19일 백선엽 당시 육군 1사단장(왼쪽)이 평양에 입성한 뒤 프랭크 밀번 미군 1군단장에게 전황을 설명하고 있다. 백 장군이 군 역사 기록물로 육군에 기증한 사진이다. 동아일보DB
‘살아있는 6·25전쟁 영웅’ 백선엽 예비역 육군대장이 2020년 7월 10일 오후 11시경 별세했다. 향년 100세. 고인은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백척간두에 선 대한민국을 온 몸을 바쳐 지켜낸 ‘살아 있는 전설’이었다. 6·25 전쟁 발발부터 정전협정 체결 때까지 1128일간 하루도 빠짐없이 전선에서 격전을 치렀다. 숱한 생사의 고비를 불굴의 의지로 극복하며 국가와 민족에 헌신한 영웅으로 평가 받는다.
살아생전 그는 항상 자신을 ‘노병’으로 불러달라며 스스로를 낮추며 “시대가 부여한 역할에 최선을 다했을 뿐이다. 다시 그때로 돌아가도 같은 선택을 할 것”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했다.
백 장군은 일제 강점기인 1920년 평남 강서군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다섯 살 많은 누나 효엽과 세 살 어린 남동생 인엽과 함께 보낸 유년기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7세 때 부친(백운상)이 작고하자 모친(방효열)은 삼남매를 데리고 평양으로 옮겨 힘든 생계를 꾸렸다. 교사가 되기 위해 평양사범학교에 진학한 그는 군인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만주군관학교에 들어갔다. 만주국 장교로 복무하던 중 해방이 되자 그는 미군정이 조직한 국방경비대의 중위로 임관해 한국군 창설에 기여했다. 이후 1사단장(당시 29세) 재임 중 6·25전쟁이 발발하자 군단장과 육군참모총장 등을 맡아 최전선에서 군을 지휘하며 여러 차례 기념비적인 전과를 올렸다.
6·25전쟁의 최대 격전인 다부동 전투에서 그가 일궈낸 값진 승리는 전설로 회자된다. 1950년 8월 북한군의 파죽지세와 같은 공세에 밀려 아군은 낙동강 전선까지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대한민국의 명운이 경각에 달린 위기상황에서 1사단장이던 그는 불굴의 리더십을 발휘했다. 그는 공포에 질려 퇴각하는 부하들을 향해 “내가 물러서면 너희들이 나를 쏴라. 너희들이 물러서면 내가 너희들을 쏘겠다”고 독려하며 선두로 달려나갔다. 그와 부하들의 결사항전으로 부대는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냈고 그 기세를 몰아 인천상륙작전 이후 평양까지 진격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다부동전투가 벌어진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는 그의 공적비가 세워져 있다. 이 전투는 미국의 주요 군사학교가 그의 회고록을 수업 교재로 활용할 정도로 인정받고 있다.
주요기사
백 장군은 한국보다 미국에서 더 추앙받는 전쟁영웅이다. 주한미군은 그를 ‘살아 있는 전설(living legend)’로 대우한다. 역대 주한미군 사령관들은 ‘한국전쟁의 영웅이신 백선엽 장군님’이라고 부르며 이·취임사를 시작하는 게 전통이다. 미군 장성 진급자와 미 국방부 직원들도 방한하면 백 장군을 만나는 게 필수코스다. 주한 미8군은 미군 부대에 배속된 한국군(카투사·KATUSA) 우수 병사에게 주는 상을 ‘백선엽상’이라 명명했다. 2013년 8월엔 미 8군은 그를 ‘미8군 명예사령관’에 임명하기도 했다. 미 8군은 “6·25전쟁 당시 한반도를 방어하는 데 탁월한 업적을 달성했고 한국의 미래를 결정해 온 역사적 순간의 증인”이라고 존경의 뜻을 전했다.
그가 1992년 펴낸 영문판 ‘From Busan to Panmunjeom(부산에서 판문점까지)’ 등은 미국내 전사(戰史) 부분의 스테디셀러다. 미 국립보병박물관은 백 장군의 6·25 경험담을 육성으로 담아 전시하고 있다. 자서전인‘군과 나’는 미국의 주요 군사학교에서 교재로 쓰인다.
백 장군은 휴전 이후 한국군의 재건과 숙군작업, 국방력 강화에 주력했다. 한국군 최초로 4성 장군으로 진급했고, 초대 1야전군사령관으로서 아시아 최초로 야전군을 창설했다.
그와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얽힌 일화도 유명하다. 1949년 군이 남로당 연루자를 가려내는 숙군(肅軍) 작업을 할 때 당시 정보국장이던 백 장군은 남로당 연루 혐의로 조사를 받던 박정희 소령의 구원 요청을 수용해 육본에 재심을 요청했다. 그의 배려로 박 소령은 불명예 제대로 일단락됐다. 몇 년 뒤 군에 복귀한 박 전 대통령이 소장 진급 과정에서 좌익 활동 전력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도 참모총장이던 백 장군이 보증을 섰고 박 전 대통령이 준장 시절 미국 포병학교에 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했다.
1960년 예편 이후엔 외교와 경제발전에 기여했다 10년간 중화민국(대만) 프랑스(유럽 5개국과 아프리카 7개국 대사 겸임) 캐나다 주재 대사를 지냈다. 교통부 장관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을 시작했다. 충주비료 호남비료 한국종합화학사장을 역임하며 중화학공업의 토대를 닦기도 했다. 선인재단 운영을 비롯한 각종 교육 활동에도 나섰다.
고령의 나이에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장과 6·25전쟁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강연과 저술 활동을 계속해 왔다.
6·25전쟁 발발부터 정전협정 체결 때까지 1128일간 그는 하루도 빠짐없이 전선을 지키며 공산군과 사투를 벌였다. 전쟁 기간 1사단장과 군단장, 육군참모총장 등을 맡아 군을 지휘했다. 휴전회담의 유엔군 측 초대 한국군 대표도 맡았다.
백 장군은 1940년대 일본군(간도특설대)에서 복무했다는 이력 때문에 친일파 논란에 시달리기도 했다. 2013년 10월 민주통합당 김광진 의원으로부터 “민족 반역자”라는 공격까지 받기도 했다. 이에 보수단체와 장성 출신 의원들이 나서 “일제 치하에 나라가 없어진 상황에서 군 복무지를 선택할 수 없었던 그를 친일로 매도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반발했다.
태극무공훈장(2회), 을지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미국 은성무공훈장, 캐나다 무공훈장 등을 비롯해 미국 코리아소사이어티 ‘2010 밴 플리트 상’ 등을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전쟁一千日’(1988), ‘軍과 나’(1989), ‘실록 지리산’(1992), ‘한국전쟁Ⅰ,Ⅱ,Ⅲ’(2000), 회고록 ‘조국이 없으면 나도 없다’(2010), ‘노병은 사라지지 않는다’(2012) 등이 있다.
유족으로는 부인 노인숙씨, 아들 백남혁·백남흥 씨, 딸 백남희·백남순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실, 발인은 15일 오전 7시. 장지는 국립대전현충원이다. 02-3010-2000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손효주기자 hjson@donga.com
‘6·25전쟁 영웅’ 백선엽(白善燁) 장군 별세…향년 100세
(1920.11.23 ~ 2020.7.10)
자유 대한을 지켜낸 전쟁 영웅,
자유대한 역사의 현장이자 산 증인이
이젠
호국영령이 되셨구려.
역사는 지난 날 사실로 '있었음'이다.
낙동강 전선 서쪽인 내 고향 성주는 인민군 치하...
칠곡 다부동 전투에서 북한군 3사단을 격멸시키는 등 최후전선을 방어함으로써
백척간두에 선 대한민국의 목숨을 건져낸 장군의 혁혁한 전공에 깊이 감사드린다.
구국의 영웅이시어, 영면하소서!
호국영령이시어, 밤하늘 별로 빛나소서!
7월 13일 고 백선엽 대장의 시민분향소가 마련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우산을 받친 시민들이 세 줄로 길게 서서 조문을 기다리고 있다.
'History & Human Ge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恨夢& 金色夜叉 (0) | 2020.07.22 |
---|---|
님 무덤 앞에 (0) | 2020.07.20 |
維新回天の 風雲兒 (0) | 2020.06.30 |
坂本 龍馬 (0) | 2020.06.30 |
김병연(김삿갓)무덤 (0) | 202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