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방역물품 보낸다던 외교부…'G2' 中 가장많이 줬다
[중앙일보] 입력 2021.07.28 11:09
SNS 공유 및 댓글SNS 클릭 수17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SNS 공유 더보기
지난해 '공적마스크 5부제' 시행 당시 한 약국에 붙어있는 마스크 소진 안내문과 구매를 위해 줄서있는 시민들모습. 뉴시스
외교부가 지난해 개발도상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돕기 위해 120개국에 방역물품을 보냈는데, 그중 중국에 가장 많은 지원을 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28일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실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코로나 대응 인도적 지원 개도국 방역 물품 지원 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외교부는 개도국에 총 5161만 달러(약 595억4700만원) 상당의 마스크, 진단키트, 의료진 보호 장구 등을 지원했다. 무상원조 사업인 '다 함께 안전한 세상을 위한 개발 협력구상'에 따른 것이었다.
하지만 전체 지원국 중 중국에 가장 많은 400만 달러(약 46억1680만원)의 지원을 한 게 문제가 됐다. 외교부는 중국에 마스크와 안면보호구를 비롯해 라텍스 장갑, 분무형 소독기 등을 보냈다.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 오종택 기자
태 의원은 "지난해 한때 정부의 마스크 구매 제한으로 우리 국민은 강제적으로 1주일에 2개의 마스크만 살 수 있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도움이 필요한 나라가 많은데 G2(주요 2국) 국가라는 중국에 최대금액의 지원을 한 것을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추진하는 외교부가 중국에 막대한 혈세를 지원한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실제로 중국에 지원된 물품의 금액은 2위인 이란(269만 달러) 3위인 미얀마(129만 달러)와 비교해도 차이가 크다. 대륙별로는 아프리카에 1975만 달러를 지원했고, 아시아·태평양(1393만 달러), 미주(1379만 달러), 유럽(415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100만 달러 이상 지원한 나라는 중국을 포함해 총 13개 국가에 달했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xhdd**** 2021-07-28 14:23:40
조공 바친거네..
chux**** 2021-07-28 14:16:37
이정권은 교체한후 반드시 조사해야한다
popb**** 2021-07-28 13:42:48
우한에서 코로나를 수입해서 정권유지용으로 잘 쓰고 있으니 고맙기도 한거지
xe3p**** 2021-07-28 11:48:34
남한주민들 사이에 떠도는 소문이 있다. 백신을 북한에 몰래 줬다는 흉흉한 소문이다. 설마 그렇지야 않겠지만 만에 하나 사실로 밝혀진다면 관련자들은 모두 고사포 처형에 해당된다. 우리 국민의 생명은 등한시 했기 때문이다.
vhdl**** 2021-07-28 11:48:09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지금 경험하고 있다는 TV속에서 마스크 사러 줄서있던 아주머니의 말이 생각나네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원순 유족 '사자명예훼손' 언론소송 예고… 野 "죽음을 이용한 N차 가해" 비판 (0) | 2021.07.28 |
---|---|
“정부 거짓말에 쫄딱 망했다” 극단선택 예고한 규제 샌드박스 1호 대표 (0) | 2021.07.28 |
北피격 공무원 형 분노 "통신선 열려도 동생 언급 안해" (0) | 2021.07.28 |
‘김경수 유죄’ 文 사과 표명 촉구에 靑 “‘입장 없다’가 입장”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0) | 2021.07.28 |
Typhoon Nepartak may bring heavy rain to northeast Japan amid Olympics (0) | 2021.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