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생 靑비서관, 20대 흉내 대선주자들, 쇼로 청년표 구걸하나
조선일보
입력 2021.06.23 03:24
왼쪽부터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 김한균 정무비서관, 이승북 교육비서관 내정자/KTV 캡처
대통령이 대학생인 박성민(25) 전 민주당 최고위원을 청와대 청년담당 비서관에 임명한데 대해 청년들이 반발하고 있다. 고시 출신도 25년 정도 걸리는 1급 공무원 자리에 이렇다 할 공적도 없고 능력도 입증되지 않은 25세 대학생을 임명한 근거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대학생 비서관 임명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당선으로 젊은 세대들의 관심이 야당에 쏠리고 있는 ‘이준석 현상'에 맞불을 놓으려다 역효과만 낸 셈이다. ‘이준석 현상'의 근원이 어디 있는지를 헛짚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2030세대들이 이준석 대표 당선에 환호한 것은 계파도 돈도 없는 30대 정치인이 자신의 실력만으로 주요 당직을 두루 거친 4선, 5선 경쟁자들을 물리치는 이변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취업과 학업 전선에서 팍팍한 삶을 살고 있는 젊은이들이 공정한 경쟁 여건만 주어지면 나도 이준석처럼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을 꾸게 된 것이다. 2030세대들은 ‘평등 공정 정의'라는 깃발을 내걸고 출범하더니 위선과 불공정의 상징인 조국 같은 사람을 감싸고 우대하는 문재인 정권에 실망하고 배신감을 느꼈다. 그래서 이준석 체제 야당에서 대안을 찾을 수 있을까 관심을 갖고 지켜보기 시작한 것이다.
집권 세력이 청년 세대의 지지를 다시 얻고 싶다면 그들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해주면 된다. 그러나 지금의 민주당은 입바른 소리조차 함부로 낼 수 없는 권위주의에 짓눌려 있다. 젊은 초선 의원들이 조국 사태와 박원순·오거돈 성추행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가 열성 지지자들에게 혼쭐이 나고 꼬리를 내려야 할 정도다. 하고 싶은 말도 제대로 할 수 없는 분위기를 만들어 놓고 청년 특임장관이니 20대 대학생 청와대 비서관 같은 생색을 낸다고 청년 표를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을 했다면 젊은 세대를 바보 취급하는 것이다.
60·70대 여당 대선 주자들이 게임하는 시늉을 하고, 힙합 가수처럼 분장해서 뮤직 비디오까지 찍으며 청년 표를 구걸하는 모습도 안쓰럽기는 마찬가지다. 2030세대들이 기성 정치인들에게 바라는 것은 청년들의 고민을 경청하고 그 해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어른스러운 태도다. 몸에 맞지 않은 옷을 입고 20대 흉내를 내는 쇼를 한다고 청년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다.
25세 靑 비서관, 역풍 부나
2,750 views
Jun 23,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Ia69ruq0Rfk
"행시 출신 30년 공무원도 2급 어려운데"… 만25세 덜컥 1급, 박성민 논란
박성민 靑 청년비서관, 부지사급 의전… 2030 "허탈감" 野 보좌진 "청년층 분노만 살 뿐"
이상무 기자
입력 2021-06-23 15:20 | 수정 2021-06-23 16:56
이게 공정인가?
1급 공무원에 상당하는 청와대 청년비서관에 대학생인 박성민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발탁된 것과 관련한 논란이 가열되는 조짐이다. 공정을 의식한 청와대의 기대와 달리 "코미디" "행정고시 패스해 30년 일해도 2급이 될까 말까 하다" 등의 비판이 제기됐다.
1996년생(만 25세)인 박 비서관은 23일 6시 이전에 청와대로 출근해 업무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비서관은 출근 후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행정관들로부터 현안보고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 비서관은 광역시 부시장, 도의 부지사, 고등법원 부장판사, 군의 준장·소장과 동일한 의전을 받는다. 2021년도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를 참고하면 특정직·별정직 1급 공무원은 월 급여로 412만2900원(1호봉 기준)을 받는다.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5000만원인데, 각종 수당을 더하면 이보다 더 높다.
청와대의 이러한 '파격' 인사는 4·7 재·보궐선거에서 드러난 2030층의 야권 지지 및 여당 심판 기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는 전날 "이런 식의 인사는 청년들의 마음을 얻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분노만 살 뿐"이라는 비판성명을 발표했다.
"수많은 청년 박탈감 느낄 것"
국보협은 "대한민국의 일반적인 청년들은 대학교를 졸업한 후 석·박사를 취득하더라도 취업의 문을 넘기 어렵다. 몇 년을 준비해서 행시를 패스해 5급을 달고 근 30년을 근무해도 2급이 될까 말까 한 경우가 허다하다"며 "대한민국의 수많은 청년이 이번 인사에 성원을 하겠는가, 박탈감을 느끼겠는가"라고 물었다.
국회에서 일하는 A씨는 22일 국회 보좌진 익명 게시판인 '여의도 옆 대나무숲'에 "청년비서관 문제의 본질은 다른 곳에 있다. 상대적 박탈감"이라고 지적했다.
"여당 전 당대표가 파격인사랍시고 데려온 최고위원이 과연 어떤 성과를 냈는가. 청년들 살림살이가 좋아졌는가"라고 반문한 A씨는 "그저 기존 정치인들을 따라하기에 급급한 모습이었다"며 "관운만 잘 맞으면, 줄만 잘 타면 큰 노력 없이도 출세하는구나 하는 생각만 들게 할 뿐"이라고 한탄했다.
"줄만 잘 타면 큰 노력 없이도 출세"
현재 1급 공무원이 되려면 5급 국가고시를 통과하고도 25∼30년 노력해야 하고, 평생 1급에 이르지 못하는 공무원도 많다. 국가고시와 대기업 입사시험을 준비하는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박 비서관의 전문성에 관한 불만도 이어졌다.
대학생들이 이용하는 앱 '에브리타임'에서 한 대학생은 "이준석 뜨니까 대항한다고 한 게 26살 청년비서관 채용?"이라며 "이준석은 그동안 강연 다니면서 인지도라도 쌓았지 쟤는 뭐야?"라고 꼬집었다. 박 비서관이 편입해 다니는 고려대의 커뮤니티에서도 "나는 왜 공무원시험을 준비하고 있나" "화가 치민다" "그가 2030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나" 등 허탈감을 느꼈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이한상 고려대 경영대 교수는 페이스북에서 "박성민 씨가 좋은 성품을 가진 것과는 별개로 2030을 만나면 듣는 삶의 고단함과 불평을 얼마나 뼛속 깊이 문제로 인식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나타냈다.
靑 이철희 "충분히 자격 있다 생각"
이 같은 날 선 비판에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22일 MBC 라디오 '표창원의 뉴스 하이킥'에 출연해 "동의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 수석은 "이 사람(박 비서관)을 어느 날 갑자기 누구 찬스 써서 데려온 것이 아니다. 박 비서관도 당에서 활동했고 사회적 활동을 하면서 평가받고 검증받은 사람"이라며 "충분히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고 저희가 사실 부탁했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남녀 공동 비서관제를 하려고 했다"고 밝힌 이 수석은 "20~30대 남녀 공동으로 해보면 상당히 의미 있는 실험이 될 수 있겠다 싶어서 해보려고 했는데 (적합한) 남성을 찾는 데 실패했다. 진작에 준비는 됐는데 2~3주 계속 찾다가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발표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press@newdaily.co.kr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보 개방’후 수질 최대 40% 악화 첫 인정 (0) | 2021.06.23 |
---|---|
보 개방땐 수질 악화… 이걸 알면서도 없앤다는 정부 (0) | 2021.06.23 |
한동훈 "유시민 장기간 허위 주장, 개탄스러워"…유시민 측 '무죄' (0) | 2021.06.23 |
김영환 “추미애 매가 온다 꿩꿩꿩, 대선 출마 말리고 싶다” (0) | 2021.06.23 |
文 캠프 출신 신평 “윤석열 X파일.. 저질 인신공격에 인권 유린”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