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nderful World

妙香山 香氣

Jimie 2020. 6. 4. 06:15

妙香山 浮雲

인생은 한 조각 구름 같은 것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休靜, 1520~1604)은 평남 안주 출신으로

이름은 여신(汝信), 아명은 운학(雲鶴), 법명은 휴정休靜),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서산(西山), 별호는 백화도인(白華道人) 또는 서산대사(西山大師)·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이다.

9세에 어머니를, 10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안주목사(安州牧使) 이사증(李思曾)이 양자로 거두어 목사가 내직으로 가면서 운학을 한양으로 데려가  12세에 성균관에 입학시켰는데, 글과 무예를 익힌 후 15세 때 과거를 보았으나 낙방하고 지리산으로 들어가 부용 영관(芙蓉靈觀, 1485~1571)을 스승으로 모시고 10여 년 동안 수행했고, 영관의 법을 이어받은 후 금강산 · 묘향산에서 수행했다.

 

제63대 조사이다.임진왜란 당시 제자인 사명당 유정과 함께 승병 을 일으켜서 평양탈환작전에 참가하여 큰 공을 세웠다.

선조는 국일도 대선사 선교도총섭 부종수교 보제등계존자(國一都大禪師禪敎都摠攝扶宗樹敎普濟登階尊者)라는 존칭과 함께 정2품 당상관의 작위를 내렸다.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앉은 채로 입적했다.

 

 

妙香山

 

인생은 뜬 구름~

 

생야일편 부운기(生也一片 浮雲起)
삶이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오

사야일편 부운멸 (死也一片 浮雲滅)
죽음이란 한 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다

부운자체 본무실 (浮雲自體 本無實)
구름은 본시 실체가 없는 것

 

생사거래 역여시 (生死去來 亦如是)
죽고 살고 오고 감이 모두 그와 같도다

妙香山 원적암에서 蟄居하며 많은 弟子를 가르치던 西山大師는 1604년 1월 23일 세수85歲에 殞命하기 직전 
위와 같은 열반송((涅槃頌)- 임종게 [臨終偈]를 남기고 弟子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가부좌를 하고 앉아 잠든 듯 入寂하였다.

 

보현사 대웅전과 13층 탑

 

보현사(普賢寺)는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묘향산(妙香山) 어구 향천산 기슭에 위치한 불교 사찰이다.

 

784년의상에 의해 세워졌다는 전승이 있으며, 고려 중기에 대대적으로 중창되었다.

고려 인종 19년(1141년) 에 황명에 의해 세워진 《묘향산보현사기》(妙香山普賢寺記)라는 비문에 따르면, 탐밀(探密)과 굉확(宏廓) 두 승려가 처음 보현사를 창건하였다고 언급하고 있다.

 

사찰에 보관하고 있던 팔만대장경의 판본은 1984년에 북한의 평안북도 당 인민위원회가 향산문헌보존고를 만들어 옮겼다.

 

보현사(普賢寺)는 일제강점기의 31본산 가운데 하나이며 임진왜란 때 구국의 선봉에 섰던 서산대사가 입적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968년(광종 19) 창건될 당시에는 작은 규모였지만 1028년(현종 19)에 탐밀(探密)이 중건하고, 1042년(정종 8)에 그의 제자 굉확(宏廓)이 여러 학승(學僧)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243칸이나 되는 정사(精舍)를 지어 묘향산을 대표하는 대가람이 되었다.

 

1067년(문종 21)에는 왕이 전지(田地)를 하사하는 등 증축이 계속되었으며, 1160년(의종 14)에는 왕이 행차했다. 〈사적기〉와 〈조선불교통사〉에 의하면 1096년(숙종 1)에는 달보(達寶)가, 1361년(공민왕 10)에는 나옹이, 1449년(세종 31)에는 해정(海正)이, 1634년(인조 12)에는 명조(明照)와 각성(覺性)이 중창했으며, 1761년(영조 37) 화재로 절 전체가 소실된 것을 남파(南坡)와 향악(香岳)이 4년에 걸쳐 중창했다고 한다.

 

또한 〈고려사〉와 김양경(金良鏡)의 시에 의하면 고려말에는 300여 칸에 달하는 대가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818년(순조 18)에는 주지 한월(漢月)이 개금불사(改金佛事)를 했고, 1864년(고종 1)에는 미타존상과 석가여래, 16나한상을 개금하고 채색했다. 1912년 선교양종대본산묘향산보현사(禪敎兩宗大本山妙香山普賢寺)라는 공식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112개의 말사를 지닌 31본산의 하나가 되었다.

 

이 당시에 있던 당우로는 대웅전·명부전·심검당(尋劒堂)·극락전·수월당(水月堂)·관음전·영산전·수충사(酬忠祠:휴정의 사당) 등이 있다. 이밖에 대웅전 앞에는 보현사팔각13층석탑(일명 석가탑), 만세루 앞에 있는 보현사9층석탑, 보현사비, 석가여래사리부도비, 휴정의 사리부도, 이경석(李景奭)이 지은 휴정의 청허대사비(淸虛大師碑), 원준(圓俊)과 언기(彦機)의 석종, 풍담(楓潭) 대사비, 월저(月渚) 대사비, 영암(靈巖) 대사석종비 등이 있다.

 

보현사비는 김부식이 비문을 짓고 글씨는 문공유(文公裕)가, 제액은 인종이 썼다고 한다. 석가여래사리부도비에는 사리봉안의 내력이 적혀 있는데, 1592년 왜구의 침입으로 통도사의 사리가 해를 입게 되자 사명당이 금강산으로 옮겨온 것을 휴정이 금강산도 위험하다고 여겨 1상자는 묘향산의 보현사에, 1상자는 통도사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보현사9층탑

 

보현사 만세루 앞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높이 600. 탑신 뒷면에 1044(정종 10)에 세웠다는 명문이 있어 귀중한 예이다. 2층의 지대석과 2층의 기단부, 9층의 탑신부로 구성되었는데 9층 옥개석은 결실되었다. 2층의 지대석으로 받쳐진 기단부는 모두 연꽃으로 장식된 점이 특이하다. 1층기단 중석(中石) 4면에는 각각 같은 크기의 연꽃을 3개씩, 2층기단 중석 4면에도 각각 커다란 연꽃을 1개씩, 그리고 갑석(甲石)의 각 면에도 3겹의 연꽃잎을 새겨 장식했다. 9층의 탑신 가운데 1층 탑신이 가장 주목되는데 1층 탑신 북쪽면에는 탑을 세운 목적과 1044년의 조성연대를 적은 석탑기가 있다. 그 남쪽면에는 네모난 벽감(壁龕)이 있는데 일설에는 그 벽감 안에 다보불(多寶佛)이 안치되어 있었다 하여 다보탑이라고도 한다. 옥개석은 밑면에 3단받침이 있고, 추녀 밑은 살짝 반전(反轉)되었으며 추녀 귀퉁이에 풍경을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출처: 불교자료방卍

 

만세루 앞에는 보현사 4각9층탑과 천왕문, 해탈문, 조계문이 있고,

만세루 뒤에는 보현사 8각13층탑과 대웅전이 있다.

 

 

묘향산 보현사 만세루 9층석탑

만세루 앞에는 보현사 4각9층탑과 천왕문, 해탈문, 조계문이 있고,

만세루 뒤에는 보현사 8각13층탑과 대웅전이 있다.  

 

묘향산 보현사 전경(좌) 과 보현사 만세루(우)

 

 

보현사 내 수충사-酬忠祠(좌)와 팔만대장경 보존고(우)

 

서산대사 휴정(休靜)은 교(敎)와 선(禪)을 겸한 명승으로 임진왜란 때 전국 사찰에 격문을 돌려 승병(僧兵)을 규합하여 평양과 서울 수복에 공을 세웠고, 그 뒤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 은거하였다.

 

휴정이 죽은 뒤 그의 문도들에 의해 이곳 영변 보현사 수충사 (寧邊 普賢寺 酬忠祠)에 서산대사의 화상을 걸어놓고 제사지냈고 후에 사명당과 처영을 함께 제사지내게 되었다.

 

서산대사 비문

서산대사가 직접 쓴 것으로 알려짐.

 

임진왜란 의승군(義僧軍)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각지의 의병과 함께 승려도 전쟁에 참가하여 왜군에 대항하였으나 초기에는 승병으로서의 조직적인 지휘계통은 없었다.

 

그 뒤 조직적인 지휘계통을 가지고 왜군을 대적한 것은 묘향산의 승려 휴정(休靜)이 선조의 부름을 받고 의주행재소(義州行在所)에서 알현한 뒤 전국 사찰에 기병하게 하면서부터였다.

 

이에 따라 유정(惟政)은 금강산, 처영(處英)은 호남지방, 영규(靈圭)는 호서지방,해서에서 의엄 등 휴정의 고제들이 의승군을 일으켜 호응, 전국 사찰에서 거병한 의승군의 수는 5,000여 명을 넘어섰다.

 

휴정(休靜)을 팔도도총섭으로 한 수천명의 의승군은 일부는 직접 전투에 참가하여 전공을 올리기도 했고, 일부는 요역(徭役)·경비 등을 담당하며 관군을 도왔다.

 

▲ 북한 국보유적 제104호 '보현사비'

 

보현사사적비는 1141년(인종 19)에 건립된 것으로 비신은 높이 2m, 너비 1.1m, 자경은 2.7㎝, 제액(題額)의 자경은 10.6㎝로 되어 있으며, 서체는 행서이다. 비수는 없고 4각형의 받침돌 위에 세워졌다.

 

비문은 김부식이 찬하였고, 머리글자의 전서(篆書)는 인종이 친히 쓴 것이며, 글씨는 문공유(文公裕)가 썼다.

그 뒷면에는 비가 세워질 때까지의 12명의 역대 주지와 역사에 참여한 승려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보현사석탑은 건립 연대가 1044년(정종 10)으로 추정되며, 9층석탑으로 높이는 6.3m이다.

 

제2층 탑신에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으며, 자경은 3㎝로 해서체이다.

 

이 명문에는

고려 황제폐하의 덕은 하늘과 땅과 같고 밝기는 해와 달과 같아서 백성이 불길처럼 번성하고 있다.

고 쓰여 있다.

 

'Wonderful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현사 하비로암 (下毘盧庵)  (0) 2020.06.05
묘향산 보현사(普賢寺)  (0) 2020.06.04
묘향산(妙香山)  (0) 2020.06.04
한 인생에는...  (0) 2020.05.14
남자의 인생~  (0) 2020.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