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iting Articles

文 귀국 전 中에 '한미성명' 해명… 中 "용납 못해" 강력 반발

Jimie 2021. 5. 24. 18:20

文 귀국 전 中에 '한미성명' 해명… 中 "용납 못해" 강력 반발

중국 경제보복 우려해 '달래기' 시도… 野 "우리가 속국인가" 치욕외교 지적

 

이상무 기자

입력 2021-05-24 17:02 | 수정 2021-05-24 17:48

 

사文초가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국빈만찬장에서 확대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한미 공동성명에 대만해협 안정과 쿼드(Quad), 남중국해 자유가 공개적으로 언급된 것 관련, 청와대가 중국에 별도로 해명한 것으로 24일 전해졌다. 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내정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한미 양국은 공동성명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양국이 대만 문제에 개입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중국을 직접 겨냥한 것은 아니지만, 중국이 크게 반발할 수 있는 대만 문제를 언급한 것에 대해 일각에선 문 대통령이 미국의 '백신 지원'을 염두에 두고 '친 미국' 행보를 보인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쿼드에 대해서도 양국은 "중요성을 인식한다", 남중국해 자유에 대해선 "국제법 존중"이라는 등 미중 갈등 속 민감한 현안들이 두루 포함되면서 한국 외교의 무게추가 미국 쪽으로 기울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정부는 중국 측에 한미공동성명을 '일반론적 언급'이라는 취지로 설명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향후 중국의 경제적 보복 등 리스크를 우려해 '달래기'로 선수를 친 셈이다. 중국은 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로 '한한령'을 내려 우리 기업에 큰 피해를 준 바 있다.

 

중국 경제적 보복 우려한 듯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한미 공동성명 내용에 우려를 표한다. 대만 문제는 순수한 중국 내정"이라며 "어떤 외부 세력의 간섭도 용납할 수 없다. 관련 국가들은 대만 문제에서 언행을 신중해야 하며 불장난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측의 설명을 수긍하지 않은 모습이다.

 

전날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에 "문 대통령 수행원 중 한 명이 귀국 길 중국에 들러 한미정상회담 관련 내용을 설명했으면 좋겠다"고 적어 논란이 일었다.

 

제3국과 관련한 정상회담 내용을 그 나라에 설명하는 것은 통상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현지 주재 외교 라인이 아닌 방미 수행원 당사자가 귀국 전 중국에 보고할 정도로 급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치욕 외교'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진태 "5000면 사대 DNA가 아직도 살아"

 

김진태 국민의힘 춘천 갑 당협위원장은 이날 성명에서 "정상회담 내용을 다른 나라에 알려주는 건 그 나라의 속국일 때나 가능하다. 5000년 사대 DNA가 아직도 살아 숨쉰다"며 "조선의 중대사는 연 2회 중국에 조공단을 보내 보고했다. 국왕을 세우려면 중국의 책봉이 필요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 훈장 수여식에 참석했다. 6·25 때 청천강 전투에서 중공군과 싸운 전쟁영웅"이라며 "그 자리에 참석하고 싶지 않았는데 어쩔 수 없이 불려갔다고 중국에 보고하라는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김미애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이날 당 회의에서 "민주당 소병훈 의원의 '한미회담 중국 측 설명 제안'은 문재인 정부의 중국몽에는 어울리겠지만, 국익과 한미 동맹에는 전혀 부합하지 않는 굴종적 행태다"라며 "즉각 사과하고 민주당의 적절한 조치를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press@new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