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iting Articles

윤석열의 '5·18 메시지'는 문재인 정부 저격이었다

Jimie 2021. 5. 18. 04:56

윤석열의 '5·18 메시지'는 문재인 정부 저격이었다

입력 2021.05.17 20:15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18은 독재에 대한 저항이자 현재도 살아있는 역사"라는 견해를 밝혔다. 사진은 3월 윤 전 총장이 청사를 떠나며 직원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는 모습. 홍인기 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침묵을 깨고 발신한 첫 메시지는 '5·18'이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일을 앞둔 16일 "5·18은 독재에 대한 저항이자 현재도 살아있는 역사"라는 입장을 내놨다. 지난 3월 총장직에서 물러나 잠행해온 그가 문재인 정권을 떠받치는 진보 진영의 '뿌리'인 5·18에 맞춰 입을 연 것은 왜일까.

① 선명하게 드러낸 '반문재인 색채'

윤 전 총장은 5·18 정신을 "어떠한 형태의 독재와 전제든, 이에 대한 강력한 거부와 저항을 명령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여기엔 문재인 정권을 향한 '가시'가 들어 있다. 5·18은 전두환 신군부 독재에 맞섰던 진보·민주세력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으나, 윤 전 총장은 여기에 보편성을 부여했다. '민주적으로 탄생한 정권도, 즉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도 독재적 행보를 보이면 저항해야 한다'는 것이 윤 전 총장이 행간에 담은 메시지인 셈이다. "5·18 정신을 선택적으로 써먹고 던지면 안 된다"고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에 있다.

 

윤 전 총장은 총장 퇴임사에서 "이 나라를 지탱해 온 헌법정신과 법치시스템이 파괴되고 있다"며 현 정권을 헌법과 법치 파괴 세력으로 규정한 바 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 소장은 "윤 전 총장이 이번 메시지로 5·18로 상징되는 민주주의에 대한 해석을 독점해 온 여권을 정면 비판한 것"이라고 말했다.

 

5·18 정신을 소재로 윤 총장에게 일격을 당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반발했다. "검찰주의자가 민주주의를 말한다"(정청래 의원), "5·18을 언급할 자격이 없다"(김남국 의원) 등 견제가 쏟아졌다.

② 2030세대에 어필하려고?

윤 전 총장의 대선주자 지지율은 여전히 문재인 정권 실정 논란에 따른 반사이익에 기대고 있다. '공정' 이슈를 선점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공정과 정의의 가치를 중시하는 2030세대 사이에선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다. 한국갤럽의 이달 4~6일 조사에서 윤 전 총장의 대선후보 지지율은 20대에서 6%, 30대에선 10%였다. 이재명 경기지사가 20대에서 18%, 30대에선 26%를 얻은 것과 확연한 격차다.

 

윤 전 총장의 '5·18 메시지'에는 '수구 보수' 이미지를 탈피해 중도층과 2030세대를 끌어 안으려는 시도가 담겼다는 해석도 나온다. 호남 민심만 염두에 둔 게 아니라는 뜻이다. 다만 윤 전 총장은 올해 5·18을 전후해선 광주를 찾을 계획이 없다고 한다. 윤 전 총장의 한 측근은 "적절한 시점에 호남 지역을 방문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민순 기자 soon@hankookilbo.com

 

"윤석열, 별 아닌 별똥별... 징조 나빠" 실명 비판한 북한

입력 2021.05.17 15:03 수정 2021.05.17 15:06

 

 "반기문처럼 반짝했다 사라질지도"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4월 2일 서울 서대문구 남가좌1동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재·보궐선거 투표를 하고 있다. 뉴스1

 

북한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소재로 한 시사 풍자 콩트를 내놨다. 차기 대통령 선거가 10개월 앞으로 다가오자 보수진영 대선주자를 견제하며 공세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북한 대외선전매체 ‘통일의 메아리’는 17일 ‘별의 집에서 일어난 별찌(별똥별) 소동’이라는 제목의 방송극 원고를 공개했다. 윤 전 총장 부부의 대화 형식으로 진행되는 극에서 매체는 윤 전 총장이 ‘별의 순간’이 아닌 ‘별똥별의 순간’을 잡은 것일 수 있다며 “징조가 나쁘다”고 비판했다. 극 중 윤 전 총장 부인의 대사를 통해 “한때 대선주자로 이름을 올렸다가 돌덩이같이 추락해버린 반기문처럼 당신도 반짝했다가 종당에(결국) 사라져버릴지 어떻게 알겠느냐”고 비꼬기도 했다.

 

콩트는 잇단 러브콜에도 윤 전 총장의 침묵이 길어지는 현 상황을 소개하고, 부인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연루 의혹과 장모 요양병원 부정수급 의혹 등을 두루 비판했다.

 

방송극 형식을 동원한 건 이례적이나, 최근 북한 대외선전매체의 윤 전 총장 언급이 부쩍 잦아지는 추세다. 지난달 20일에도 ‘메아리’가 윤 전 총장 관련 책의 잇단 출간 소식을 전하며 “남조선에서 윤석열이 돈벌이 도구로 전락되는 가련한 신세에 놓였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우리민족끼리’는 “(남한 언론은) 지금 윤석열의 지지율이 오르내리면서 출렁거리지만 머지않아 거품으로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장모와 처의 부정부패 행위는 결혼 전에 일어난 것이므로 모른다고 뻗치고 있는데 파렴치하다”고 비난했다.

 

북한은 보수세력의 지지를 받는 윤 전 총장이 차기 대선주자로 떠오를 가능성을 경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2017년 대선 때도 안철수 당시 국민의당 후보에게 보수층 표심이 쏠릴 것을 우려해 맹비난을 쏟아냈고,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도 비판한 바 있다.

 

강유빈 기자 yubin@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