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der & Reader 시진핑 탐구
“시진핑은 절대 남 안 믿는다” 권력집착 뒤엔 ‘13세의 악몽’
2023.05.03
제1부: 시진핑의 머릿속에 무엇이 들었나
제1장: 시진핑 DNA 1, “권력이 진리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에 대한 관심은 단 하나, 어떻게 권력이 운용되나에 집중돼 있었다고 회고한다. 사진은 중국 국가부주석 시절인 2012년 2월 미국을 방문한 시진핑을 당시 미 부통령인 바이든이 맞이하는 모습. AP=연합뉴스
시진핑(習近平)은 절대로 쉽게 남을 믿지 않았다. 오직 권력만이 진리라고 믿었다.
시진핑과 가까운 한 지인의 이야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여러 개인적인 특질 중 그에게 가장 강하게 박혀 있는 DNA의 첫 번째는 권력에 대한 집착이다. 권력이란 참으로 묘한 것이다. 양날의 칼이다. 잘 쓰면 나라와 국민에게 이롭지만(利國利民), 잘못 쓰면 남과 자기를 해치는(害人害己) 무기다. 그럼에도 시진핑의 관심은 온통 권력 장악에 집중돼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과거 부통령 시절 당시 중국 국가부주석이던 시진핑을 여러 차례 만나 그의 인물 됨됨이를 살폈다. 그리고 이런 말을 했다. “시진핑은 미국의 정치 시스템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주(州) 지사의 권력은 어떤지, 그리고 미 대통령은 군사와 정보기구에 대해 도대체 얼마만큼의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 물었다.” 미국에 대한 많은 궁금증 중 시진핑이 가장 알고 싶어했던 건 다름 아닌 미국의 권력 운용이었던 것이다.
시진핑 집권 1, 2기 10년은 장쩌민의 상하이방과 후진타오의 공청단 파벌로부터 권력을 빼앗아 자신에게 집중시키는 세월이었다. 사진 왼쪽부터 후진타오, 시진핑, 장쩌민, 리커창. AP=연합뉴스
시진핑의 지난 10년 치세(治世)가 탈권(脫權)과 집권(集權), 재집권(再集權)의 세 단어 외엔 아무것도 아니었다고 분석하는 중화권 전문가도 있다. 권력을 탈취하고 권력에 집중하며 다시 권력에 집중하는 과정의 연속이었다는 주장이다. 장쩌민(江澤民)의 상하이방(上海幇)과 후진타오(胡錦濤)의 공청단(共靑團)으로부터 권력을 빼앗고 이 권력을 자신에게 집중시키고 또 집중시키는 일을 했을 뿐이라는 이야기다.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군중 속 모친도 함께 외쳤다 ‘때려잡자 시진핑’ 문혁 악몽
2023.04.26
에디터유상철
사람들은 태평성대를 꿈꾼다. 그러나 그저 꿈꿀 뿐이다. 세상은 늘 태평하지 않다. 멀리 우크라이나 포화는 1년 넘게 계속되고, 가까이 북한은 걸핏하면 핵과 미사일 으름장이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현재 세계가 직면한 최대 도전은 미·중 싸움이다. 무역에서 기술과 이념으로 전선은 확대일로다. 민주(民主)와 전제(專制) 중 어떤 세상에서 살 것인가의 다툼이기도 하다. 배경엔 중국의 급격한 부상이 깔려 있다.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는 생전 “급부상한 중국은 필연적으로 패권을 추구할 것이며, 그건 결코 부드러운 패권은 아닐 것이다. ‘영원히 패권을 추구하지 않겠다’는 중국의 약속은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말했다. 14억 중국이 세상의 중심 무대로 거칠게 뛰쳐나오면서 세계사의 물줄기가 바뀌고 있다. 세상은 이제 중국을 중심으로 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중국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하고 상대할 것인가.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는 생전 ″급부상한 중국은 필연적으로 패권을 추구할 것이며 그건 결코 부드러운 패권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포토
마오쩌둥(毛澤東)이 어떻게 혁명할 것인가에 답을 했다면 덩샤오핑(鄧小平)은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의 해법을 제시했다. 이제 시진핑(習近平)은 무슨 답을 내놓으려 하나. 중국을 어떻게 강하게 할 것인가가 핵심이다. 여기서 모든 문제가 터지고 있다. 시진핑은 두 개의 야망을 추구 중이다. 국내적으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꿈(中國夢) 실현, 대외적으론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이다. 중국 인민의 영수를 넘어 세계 만인의 영수가 되겠다는 야심이다.
오늘의 중국을 보려면 ‘유일한 존엄(定于一尊)’이 된 시진핑에게 집중해야 한다. 그가 자기의 역사적 위치를 어떻게 판단하고 중국과 세계의 미래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다고 보는지 그의 생각을 읽어야 한다. 한데 중국 지도자들의 속내 읽기가 어디 그리 쉽나. “장쩌민(江澤民)의 익살은 자신의 진짜 능력을 감추기 위한 속임수로 비치고, 후진타오(胡錦濤)의 침묵은 그와 마주한 상대에게 채워야 할 빈 시간일 뿐이었다.” 영국의 중국 전문가 케리 브라운의 말이다.
마오쩌둥이 어떻게 혁명할 것인가에 답을 했다면, 덩샤오핑은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의 해법을 제시했다. 시진핑은 이제 어떻게 강해질 것인가에 대한 답을 내놓고 있다. 왼쪽부터 마오쩌둥, 덩샤오핑, 시진핑. 중앙포토
모친도 “시진핑 때려잡자”…문혁이 그를 바꿨다
유상철입력 2023. 5. 2. 05:00수정 2023. 5. 2. 06:37
[시진핑 탐구] 은인자중 리더십
시진핑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은 꼭 제도와 규칙이 이끄는 나라는 아니게 됐다. 그는 “중국의 선조들은 2500년 전에 이미 ‘백성에게 이로우면 굳이 옛 법을 따를 필요가 없고 일하기에 좋다면 굳이 습속을 따를 필요가 없다(苟利於民 不必法古 苟周於事 不必循俗)’고 말했다”고 강조한다. 자연히 지도자인 시진핑 개인의 요소가 그 무엇보다 중요해진다.
시진핑의 지인들 말에 따르면 그는 여러 사람과 다 잘 어울리지만, 결코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지 않는다. 다섯 명이 60도 배갈 10병을 마셨는데 마지막까지 제멋대로 허튼소리를 하지 않은 건 시진핑 하나였다. 시진핑은 친구를 만날 때도 이상하게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했다고 한다. 그는 왜 이리 조신한 걸까.
감옥서 탈출했지만…모친이 신고
시진핑의 아버지 시중쉰이 부총리가 된 1959년 가족 사진. 맨 오른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시진핑, 누나 치챠오챠오, 아버지 시중쉰, 어머니 치신, 누나 치안안, 동생 위안핑. 누나들은 어머니의 성을 따랐다.
시진핑이 13세 되던 1966년 12월의 일이다. 시진핑은 40여 년 후 자신이 교장이 되는 중앙당교(中央黨校)와 결코 잊을 수 없는 인연을 맺게 된다. 대륙을 광풍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문화대혁명이 시작된 그해 어린 시진핑은 문혁을 가볍게 평하는 말실수를 한다. 대가는 참혹했다. 바로 ‘현행 반(反)혁명분자’로 몰려 중앙당교에 갇힌 것이다. 당시 중앙당교는 6명의 ‘주자파(走資派)’를 상대로 비판대회를 개최했다.
보시라이 아버지인 보이보 전 부총리가 문혁 당시 비판대회에서 곤욕을 치르고 있다.
비판 대상에 오른 5명은 성인이었고 시진핑 혼자 미성년 아동이었다. “때려잡자 시진핑” “때려잡자 시진핑”. 시진핑을 향해 무수히 울려 퍼지는 군중의 외침 속에는 어머니 치신(齊心)의 목소리 또한 묻어 있었다. 강제 동원된 것이다. 단하의 어머니가 단상의 아들을 때려잡자고 소리쳐야 하는 현실의 고통을 아마도 겪어보지 않은 이는 헤아리기 어려울 것이다. 비판대회가 끝난 뒤에도 지척의 모자는 자리를 같이할 수 없었다. 중앙당교에 갇혀 지내던 어느 날 밤에 비가 억수로 내렸다. 시진핑은 간수의 부주의를 틈타 집으로 도망쳤다. 깜짝 놀란 치신이 “어떻게 왔냐”고 묻자 비에 젖은 시진핑은 오들오들 떨며 “엄마 배고파”를 연발했다. 그는 엄마가 먹을 걸 해주고 옷도 따뜻한 것으로 갈아입혀 줄 거로 기대했을 것이다. 그러나 치신은 시진핑을 등진 채 비를 무릅쓰고 상사에게 신고하러 갔다. 가족도 반혁명으로 몰려 자칫 목숨을 잃을 걸 우려한 것이다.
금수저로 태어나 천민의 나락으로
마오쩌둥(왼쪽)과 문혁의 대표적 희생자인 류사오치가 1962년 중국 베이징의 천안문에서 함께한 모습. [사진 RFA, 중국 CCTV 캡처]
더는 의지할 곳이 없어진 시진핑은 누나 안안(安安)과 동생 위안핑(遠平) 앞에서 목놓아 울었다. 그리고 빗속의 밤길로 뛰쳐나갔다고 한다. 이런 공포스러운 숙청을 경험한 이가 이후 어떻게 가벼이 입을 열 수 있겠나. 시진핑에 대한 탐구는 이처럼 그의 성장 과정에서 양성된 개인적인 특질과 분리해 이뤄질 수 없다. 금수저로 태어나 천민(賤民)의 나락으로까지 떨어졌던 삶이 그를 어떤 사람으로 만들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야 시진핑의 중국이 걷는 길이 안갯속에서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우리 사회는 최근 반중(反中)이 마치 시대정신이라도 된 듯하다. 지난해 여론조사에서 중국에 대한 비호감도는 80%에 달하고 시진핑 주석 개인에 대한 비호감도는 이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은 우리 운명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이웃이다. 중국을 상대로 싫다고 외면만 하는 건 우리 스스로 무덤을 파는 일이다. 이젠 반중이 아니라 지중(知中)을 해야 한다. 마오쩌둥의 일생이 이상주의 혁명이었다면 덩샤오핑의 평생은 실용주의 혁명이었다고 한다. 시진핑은? 둘 다 끌어안으려 한다는 분석이 많다. 우리로선 그런 시진핑의 중국을 등지려고만 할 게 아니라 하나라도 더 알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시진핑에 대한 이해가 깊어야 앞으로 중국과 겨뤄야 할 수많은 대국(對局)에서 우리가 둘 수 있는 수가 더 많아지지 않겠나. 그런 취지에서 감히 시진핑 탐구에 도전한다.
유상철 중앙일보 중국연구소장 <you.sangchul@joongang.co.kr
중앙일보
英 유학 가자는 전부인과 이혼 시진핑의 지독한 ‘反 서방’
'History & Human Ge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각 지방의 명칭 (1) | 2024.05.11 |
---|---|
三國演義(삼국연의)-龐令名과 關雲長 , 「可惜我青龍刀斬汝鼠賊!」 (0) | 2024.05.11 |
5·18 유공자 4346명 명단 입수… 광주항쟁과 무관한 인사 수두 (0) | 2024.05.11 |
5.16 군사혁명: 한국의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초석 (0) | 2024.05.11 |
360도 회전하는 ‘백선엽 동상’, 대한민국을 전방위로 지키겠다는 의지중앙선데이 (0)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