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동·서해로 130여발 포격...또 9·19 군사합의 위반

북한이 5일 동·서해 상으로 130여발의 포탄 사격을 가했다. 포탄 대다수는 2018년 9·19 남북 군사합의로 설정한 동·서해 해상완충구역에 떨어졌다. 최근 한미일 3국이 연합해 북한 당 간부와 주요 기관을 제재한 데 대한 반발로 분석된다. 이날부터 오는 6일까지 진행하는 우리 군의 포사격 훈련에 대한 반발 성격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후 2시 59분쯤부터 북한 강원도 금강군 일대와 황해남도 장산곶 일대에서 각각 동·서해상으로 130여 발의 방사포로 추정되는 포병 사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동·서해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은 명백한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면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은 북한에 9·19 군사합의 위반 사실을 통보하고 즉각 도발을 중단하라는 경고 통신을 수회 실시했다.
북한의 무력시위는 지난달 18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발사한 지 17일 만이다. 포격 도발로 9·19 합의를 위반한 것은 지난달 3일 강원 금강군 일대에서 동해 완충구역 내부로 80여 발을 쏜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당시 북한은 한미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 (Vigilant Storm)’에 반발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1발과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5발도 같은 날 쐈다.
이번 포격은 한미일의 대북 제재에 대한 반발로 분석된다. 3국은 지난 2일 북한 핵·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개인과 단체 등에 대한 제재를 각각 발표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중국·러시아의 비협조로 추가 조처를 내놓지 못하는 가운데 한미일이 연쇄적 독자 제재로 대북 제재망을 강화한 데 따른 북한의 대응으로 풀이된다. 이날부터 오는 6일까지 진행하는 우리 군의 포사격 훈련에 대한 반발 성격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우리 군과 주한미군은 이날 오전부터 철원 일대에서 다연장 로켓(MLRS) 등 사격 훈련을 시작했다. 군은 최근 철원 일대에서는 다연장로켓(MLRS) 50여 발, K-9 자주포 140발 등의 포격 훈련을 5일부터오는 6일까지 실시하겠다고 공지했었다. MLRS 사격은 한미가 같이하는 훈련이다. 군은 계획된 훈련을 그대로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은 원전…피바람 불 수 있다" 서훈 구속에 뭉치는 친문 (0) | 2022.12.05 |
---|---|
“한동훈 집주소 적힌 문서, 경찰이 휴대폰 촬영해 더탐사 전송” (0) | 2022.12.05 |
노무현 “재인아 재떨이 좀”…송광수 발탁, 그날 청와대에선 (0) | 2022.12.05 |
尹, 김기현과 3시간 관저 만찬…與 전당대회 '윤심' 향방은 (0) | 2022.12.05 |
서훈 두둔 文 발언에 “도 넘지 말아달라”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