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 Human Geography

Holodomor Genocide

Jimie 2022. 11. 30. 16:55

11월의 네째 토요일은

우크라이나의 홀로도모르 추모일이다.

 

 

70여년 지우고 숨기고 가리고

인류역사상 가장 참혹하고 잔인한 집단학살의 참상

 

소련 공산당 스탈린 독재정권의 유크레인 집단학살

Holodomor

홀로도모르

 

 

 

“We Were Killed Because We Are Ukrainians”.

"우리는 우크라이나인이기에 죽임을 당했다"

이름도 무덤도 없이 사라져간 천만인의 원혼.

 

 

Famine of 1921–1923″

"1921-1923 기근"

“Stolen Childhood: Children During the 1932–1933 Holodomor”.

"잃어버린 어린이 세대: 1932- 1933 기아치사 학살기의 어린이들"

“Mass Famine of 1946–1947 in Soviet Ukraine”.

"1946-1947 유크레인 소비에트의 대기근"

“Executed by Starvation: Unknown Genocide of Ukrainians”.

"기근에 의한 사형 : 알려지지 않은 유크레인 사람들 집단 학살"

 

National Museum of the Holodomor Genocide in Kiev, Ukraine

'기아치사 집단 학살' 국립 박물관, 키이우. 유크레인

 

* Holodomor Genocide

1932-1933

"기아로 말미암은 치사(致死)" 집단 학살

 

 

The fourth Saturday in November is dedicated to the remembrance of the millions of human beings who were murdered in the mass genocide by starvation: Holodomor, translated to mean “killing by starvation.”

11월 넷째 토요일은 '기아에 의한 대량 학살'에서 살해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추모하는 날이다.

 

Between 1932–1933 approximately 7 million farming families were exterminated by deliberate, centrally-planned, forced famine in Ukraine and another 3 million just outside of Ukraine, totaling 10 million unnecessary deaths of innocent, hard-working people.

1932년에서 1933년 사이에 우크라이나에서 약 700만 농촌 가족들이 의도적이고 중앙에서 계획된 강제 기근으로 전멸했으며, 우크라이나 밖에서 또 다른 300만명 도합 1000만명의 무고한 노동자들이 불요한 죽음으로 몰살당했다.

 

A joint statement to the United Nations signed by 25 countries in 2003 declared that 7–10 million died.

Since 2006, the Holodomor has been recognized by Ukraine alongside 15 other countries, as a genocide against the Ukrainian people carried out by the Soviet regime.

2003년에 25개국이 서명한 유엔 공동 성명서는 700만~1000만 명이 사망했다고 선언했다.

2006년 이후 홀로도모르는, 다른 15개국과 함께 우크라이나에 의해, '소련 정권이 자행한 우크라이나 국민에 대한 집단학살'로 인정되었다.

 

Starvation and Cruelty

기아와 잔인함

 

Sadly, 31 percent of those who starved to death were children under the age of ten. Anyone caught trying to leave was shot. Children were so hungry, they had lost all fear and were shot on the spot when begging for a single grain. Parents swapped children as they had to resort to cannibalism to survive. Most city dwellers had no idea this was happening and those who did know had to remain silent for fear of execution.

 

안타깝게도 굶어 죽은 사람의 31퍼센트가 10세 미만의 어린이였다. 탈출하려다 붙잡힌 사람은 총살당했다. 아이들은 너무 배가 고파 두려움도 잊고 한 톨의 식량을 구걸하다가 그 자리에서 총살당했다. 부모는 생존을 위해 식인 풍습에 의지해야했기에 아이들을 교환했다. 대부분의 도시 거주자들은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고 알고 있었던 사람들은 사형이 두려워 침묵을 지켜야 했다.

 

Cannibalism

식인 풍습

 

Evidence of widespread cannibalism was documented during the Holodomor:

만연한 식인 풍습의 증거는 Holodomor 동안 문서화되었다.

 

//

Survival was a moral as well as a physical struggle. A woman doctor wrote to a friend in June 1933 that she had not yet become a cannibal, but was "not sure that I shall not be one by the time my letter reaches you." The good people died first. Those who refused to steal or to prostitute themselves died. Those who gave food to others died. Those who refused to eat corpses died. Those who refused to kill their fellow man died. Parents who resisted cannibalism died before their children did.

 

생존은 육체적인 투쟁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투쟁이었다. 1933년 6월에 한 여의사는 친구에게 그녀가 아직 식인종이 되지는 않았지만 "내 편지가 당신에게 도착할 때까지 내가 식인종이 되지 않을지 확신할 수 없다"고 편지를 썼다. 좋은 사람들이 먼저 죽었다. 도둑질이나 매춘을 거부한 사람들은 죽었다. 다른 사람에게 음식을 준 사람들은 죽었다. 시체 먹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죽었다. 동료를 죽이기를 거부한 사람들은 죽었다. 식인 풍습에 저항한 부모는 자녀보다 먼저 죽었다.

//

 

The Soviet regime printed posters declaring: "To eat your own children is a barbarian act." :

  More than 2,500 people were convicted of cannibalism during the Holodomor.

소련 정권은 "자신의 자녀를 먹는 것은 야만인 행위"라고 선언하는 포스터를 발간했다.

홀로도모르 동안 2,5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식인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

 

The Ukrainian parliament first recognized the Holodomor as a genocide in 2003,

and criminalized both Holodomor denial and Holocaust denial in 2006.

 

우크라이나 의회는 2003년에 처음으로 홀로도모르를 대량 ​​학살로 인정했고,

2006년에 홀로도모르 부정과 홀로코스트 부정을 범죄로 규정했다.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

작사자 1862: 파울로 추빈스키(Павло Платонович Чубинський)
작곡자 1863: 미하일로 베르비츠키(Михайло Михайлович Вербицький)

https://www.youtube.com/watch?v=fqO_6Yntp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