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x5WJQ/btrJO0VPxzr/6kZRj0sU5MKE34kbwNK0nK/img.jpg)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16일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과 서욱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부장검사 이희동)는 이날 오전 박 전 원장과 서 전 장관의 자택에 각각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한 증거물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달 6일 국정원은 2020년 9월 서해상에서 북한군에 사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 씨 사건에 대한 ‘첩보 보고서’를 무단 삭제한 혐의로 박 전 원장을 고발했다.
이후 같은달 8일 이 씨 측 유족은 검찰에 박 전 원장에 대한 구속요청서를 접수했다. 또 서 전 장관과 이영철 당시 국방정보본부장(육군 중장) 등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유족 측은 이 씨가 숨진 다음 날인 2020년 9월 23일 오전 1시경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열린 뒤 다수의 군사기밀이 군사통합정보처리체계(MIMS·밈스)에서 삭제된 점을 고발장에 담았다.
그러면서 “군사기밀 삭제 시점은 서 전 장관이 참석한 NSC 회의 직후”라며 “서 전 장관의 개입에 따라 군사기밀 삭제가 이뤄진 것인지 등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일부 기밀 정보가 직무 관련성 없는 부대까지 전파되는 걸 막기 위해 삭제한 것일 뿐 감청 원본은 지우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박 전 원장도 혐의를 전면 부인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밈스 담당자와 감청정보(SI·특별정보) 수집을 담당하는 첩보부대 777사령부 소속 부대원 등을 불러 조사해왔다.
검찰이 참고인 조사를 마무리하고 본격 피의자 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끝내는 대로 박 전 원장과 서 전 장관에 대한 소환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부장검사 이희동)는 이날 오전 박 전 원장과 서 전 장관의 자택에 각각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한 증거물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달 6일 국정원은 2020년 9월 서해상에서 북한군에 사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 씨 사건에 대한 ‘첩보 보고서’를 무단 삭제한 혐의로 박 전 원장을 고발했다.
유족 측은 이 씨가 숨진 다음 날인 2020년 9월 23일 오전 1시경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열린 뒤 다수의 군사기밀이 군사통합정보처리체계(MIMS·밈스)에서 삭제된 점을 고발장에 담았다.
그러면서 “군사기밀 삭제 시점은 서 전 장관이 참석한 NSC 회의 직후”라며 “서 전 장관의 개입에 따라 군사기밀 삭제가 이뤄진 것인지 등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밈스 담당자와 감청정보(SI·특별정보) 수집을 담당하는 첩보부대 777사령부 소속 부대원 등을 불러 조사해왔다.
검찰이 참고인 조사를 마무리하고 본격 피의자 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끝내는 대로 박 전 원장과 서 전 장관에 대한 소환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sinnala8@donga.com
-
BEST
-
BEST
-
BEST
동아닷컴
secur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