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코로나 사망률, 세계 평균 넘어섰다... 영국의 4.5배
우리나라의 코로나 치명률이 세계 평균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OECD 38개국 가운데 아홉 번째다.
8일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7일 기준 우리나라의 코로나 치명률(확진자 대비 사망자)은 1.42%로 나타났다. 세계 평균(1.41%)보다 0.01%포인트 높다. 주요 7개국(G7) 가운데 우리나라보다 치명률이 높은 곳은 미국(2.19%) 뿐이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으로 범위를 확대해보면, 우리나라의 치명률은 9번째다. 멕시코(6.49%), 코스타리카(2.47%), 미국(2.19%), 콜롬비아(1.95%), 라트비아(1.92%), 헝가리(1.87%), 폴란드(1.63%), 그리스(1.43%)가 우리나라보다 치명률이 높은 국가들이다. 이날 기준 아이슬란드와 뉴질랜드의 치명률은 0%였다. 아일랜드(0.17%), 네덜란드(0.23%), 노르웨이(0.24%), 덴마크(0.25%) 등도 치명률이 낮은 국가였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코로나 3차 대유행 당시 2% 안팎의 치명률을 기록했다. 이후 점차 떨어져 5월 말 이후로는 0.5% 안팎의 치명률을 기록했다. 7월 중순에는 0.1%대의 치명률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10월 중순 다시 0.5% 안팎의 치명률을 보이다 서서히 증가해 11월 2일에는 1%의 치명률을 기록했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지 하룻 만이다. 지난달 28일에는 1.53%의 치명률을 보였다.
하루 수만명씩 확진자가 나오는 유럽 국가들도 우리나라보다 치명률이 낮다. 영국의 치명률은 0.28%고, 프랑스는 0.4%다. 독일은 0.56%다.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이들의 지난 7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수는 영국 4만7827명, 프랑스 4만4727명, 독일 5만5540명이다. 우리나라(5304명)와 비교할 때 적게는 8배, 많게는 10배 많다. 우리나라와 비교할 때 치명률이 0.77%포인트 높은 미국은 지난 7일간 하루 평균 11만8746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수 확 찢는다 했더니 진짜 확 찢는 줄 알더라. (0) | 2021.12.09 |
---|---|
캐나다도 "中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선언"..동맹국은 日만 남았다 (0) | 2021.12.09 |
"1만명 감당 가능하다"던 정부, 7000명에 내놓은 엉뚱한 해법 (0) | 2021.12.09 |
민주 對 독재의 2022년, K대선은 민주 회복이다 (0) | 2021.12.09 |
원희룡 “李, 박근혜 존경한단 건지 만단 건지…사기꾼 이중언어” (0) | 2021.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