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의 발인식이 진행된 2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서 운구차량이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망 닷새째인 27일 유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발인식이 치러졌다.
이날 영결식은 이날 오전 7시 30분부터 빈소가 마련된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층 영결식장에서 열렸다. 전씨의 장례는 5일간의 가족장으로 진행됐다.
영결식은 유족 50여명과 종교인, 일부 5공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조촐하게 진행됐다.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영결식장에는 48석의 좌석만 마련됐다.
전씨 부인 이순자 씨는 이 모습을 지켜보며 흐느꼈다.
전씨의 아들 재국·재용·재만 씨, 딸 효선 씨, 재용 씨 부인인 배우 박상아 씨 등도 영결식장으로 이동했다.
장남 재국 씨의 아들이 영정 사진을 들고 영결식장에 입장했다.
오전 7시 40분께부터 이대순 전 체신부 장관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불교 및 기독교 종교의식이 끝나고 난 뒤 이순자 여사가 가족들을 대표해 영결식장을 찾은 조문객들에게 인사말을 전했다.
이순자 씨는 유족 대표로 나와 “남편의 재임 중 고통을 받고 상처를 받으신 분들께 남편을 대신해 특히 사죄를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다만 무엇을 사죄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전씨 측이 과오에 대해 공식 사과한 것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무력진압 이후 41년여만에 처음이다. 전씨가 끝내 사죄하지 않고 세상을 떠난 가운데 이순자 씨가 때늦은 ‘대리 사죄’를 한 것이다.
이씨는 “62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부부로서 함께 했던 남편을 떠나보내는 참담하고, 비참한 심정은 말할 수 없었지만 고통 없이 편안한 모습으로 이 세상과 하직하게 된 것은 감수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남편은 평소 자신이 소망하던 장례를 간소히 하고 무덤도 만들지 말라고 하셨다”며 “화장해서 북녘땅이 보이는 곳에 뿌려달라고도 했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장례식장에서 전 씨의 영구차는 화장장으로 이동했다.
전두환 부인 이순자 “고통받은 분들께 남편 대신 사죄”
“장례를 간소히 하고 무덤도 만들지 말라고 해” “화장해서 북녘 땅 보이는 곳에 뿌려달라고도 했다”
25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전두환 전 대통령 빈소에서 전씨 부인 이순자 씨, 장남 재국, 차남 재용 씨 등이 입관식을 마친 뒤 빈소로 향하고 있다./연합뉴스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부인 이순자 여사가 27일 “남편의 재임 중 고통을 받고 상처를 받으신 분들께 남편을 대신해 특히 사죄를 드리고 싶다”고 했다. 전 전 대통령 측이 과오에 대해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여사는 이날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 발인에서 유족 대표로 나와 “돌이켜보니 남편이 공직에서 물러나시고 저희는 참 많은 일을 겪었다. 그럴 때마다 모든 것이 자신의 불찰이고 부덕의 소치라고 말씀하시곤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여사는 “11월 23일 아침 제 부축을 받고 자리에서 일어나시더니 갑자기 쓰러져 저의 품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셨다”고 했다. 이어 “62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부부로서 함께 했던 남편을 떠나 보내는 참담하고 비참한 마음을 이루 말할 수 없었지만, 고통 없이 편안한 모습으로 이 세상과 하직한 것은 감사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여사는 “남편은 평소 자신이 사망하면 장례를 간소히 하고 무덤도 만들지 말라고 하셨다”며 “또 화장해서 북녘 땅이 보이는 곳에 뿌려달라고도 하셨다”고 유언을 전했다. 그는 “여러분의 격려와 기도의 힘으로 장례를 무사히 치르게 됐다”며 “이제 남은 절차에 대해서는 충분한 의견을 나누겠다”고도 했다.
이 여사는 “장례기간 동안 경황이 없어 조문오신 분들께 미처 예를 다하지 못했다. 너그럽게 용서해달라”며 “장례식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도와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하다”고 인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