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마고우에서 2인자까지…노태우, 전두환과 함께한 애증의 역사
조아라기자 입력 2021-10-26 17:04수정 2021-10-26 17:18
1996년 12월 16일 쿠데타 및 비자금 항소심 재판. 동아일보DB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전두환 전 대통령과 애증의 관계였다. 막역한 친구 사이였던 두 사람은, 전 전 대통령이 정권을 잡은 뒤 최고통치자와 2인자 관계가 됐다.
두 사람은 1952년 육군사관학교 11기로 입학한 동기다. 다만 군 생활부터 노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보다 한 발씩 늦었다.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에서 대통령 경호실 작전차장보, 보안사령관, 민주정의당 총재 그리고 대통령까지 노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이 맡았던 자리를 5차례 이어받았다.
전두환 정권 시절 노 전 대통령이 2인자 역할을 지키면서 유지됐던 두 사람의 ‘동지적’ 관계는 1988년 제6공화국 출범과 함께 ‘5공 청산’ 바람이 거세게 불면서 삐걱대기 시작했다. 1987년 12월 20일 노 전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기 위해 부부 동반으로 모인 육사11기 모임 자리에서 노 전 대통령 부인 김옥숙 씨가 “우리는 국민이 직접투표로 뽑아 준 대통령이어서 체육관 대통령 하고는 달라요”라고 전 전 대통령 부부에게 말했다고 한다.
야권의 거센 ‘5공 비리 청산’ 요구에 노 전 대통령은 민심이 가라앉을 때까지 조용한 곳에 가 있으라고 했고, 1988년 11월 전 전 대통령이 강원도 백담사로 떠나면서 두 사람의 ‘40년 지기’ 관계는 사실상 끝이 났다.
주요기사
박철언 전 의원이 2005년 펴낸 회고록 ‘바른 역사를 위한 증언’에 따르면 전 전 대통령은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내가 상당히 무리해서 노태우 대통령 당선에 기여했는데…. 차라리 암살범을 시켜 후임자가 선임자를 죽이는 것이 깨끗하다”고 했다.
노 전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그들(5공 측 인사들)의 마음을 이해하면서도 어쩔 도리가 없었다. 대통령이 국민의 요구를 무시하고 마음대로 하면 대통령이 아니라 독재자라는 것이 나의 철학이었다. 그런 인식 차이로 인해 전임자는 나에 대해 배신감을 느끼면서 서운해 할 수 있는 것이고, 나는 미안해하면서도 ‘어쩔 수 없다’는 마음을 가지게 된 것”이라고 썼다.
두 사람은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인 1995년 나란히 구속돼 법정에 서서 손을 맞잡은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2014년에는 전 전 대통령이 투병 중인 노 전 대통령을 서울 연희동 자택으로 찾아갔다. 전 전 대통령은 병상에 누워 있는 노 전 대통령에게 “이 사람아, 나를 알아보겠는가”라고 말했고, 김옥숙 씨가 “알아보시면 눈을 깜박여 보시라”고 하자 노 전 대통령은 눈을 깜박였다고 한다.
조아라 기자 likeit@donga.com
노태우 전 대통령, 숙환으로 별세… 향년 89세
유성열 기자 입력 2021-10-26 15:16수정 2021-10-26 15:42
1988년 2월 25일 취임 선서를 하는 노태우 전 대통령. 동아일보 DB
노태우 전 대통령이 26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9세.
노 전 대통령은 최근 병세가 악화되며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노 전 대통령은 2008년부터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는 등 지병으로 오랜 시간 치료를 받아왔다.
서울올림픽 개막식 당시의 노태우 전 대통령 모습. 1988.9.17 동아일보 DB
노 전 대통령은 12·12 군사쿠데타(1979년)와 6·29선언(1987년), 3당 합당(1990년), 비자금 사건(1995년)으로 이어지는 한국 역사의 중심에 서며 파란만장한 생애를 보냈다. 그는 신군부 세력의 핵심 중 하나로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의 핵심부에 진입했고, 숱한 정치적 위기를 거친 끝에 육사 11기 동기인 전두환 전 대통령에 이어 1988년 제13대 대통령으로 청와대에 입성했다.
주요기사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장 전역식 모습. 오른쪽은 김옥숙 여사. 1981.7.15 동아일보 DB
그러나 취약한 지지기반, 88서울올림픽 이후 분출된 민주화운동에 따른 사회혼란, 권력 내부의 암투 등으로 인해 조기에 레임덕이 찾아왔다. 특히 퇴임 2년 여 만에 터진 4000억 비자금 사건으로 인해 대통령 퇴임 후 결국 법정에 서고 영어(囹圄)의 신세를 지는 등 순탄치 않은 인생을 보냈다.
노 전 대통령은 퇴임 후 외부활동을 삼간 채 사실상 은둔 생활을 했고, 오랜 지병으로 입·퇴원을 반복했다. 2002년 미국에서 전립샘암 수술을 받았고, 2008년에는 희귀병인 소뇌 위축증 판정을 받았다. 2011년 4월 엑스선 검사에서는 7cm 길이의 한방용 침이 기관지를 관통한 것으로 드러나 제거 수술을 받은 바 있다. 2013년에도 천식과 폐렴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최근에도 집중 치료를 받아왔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사 동기 노태우 별세…"전두환, 아무말 없이 눈물지어" (0) | 2021.10.26 |
---|---|
노태우도 10·26에... 42년 전 박정희와 같은 날 떠났다 (0) | 2021.10.26 |
노태우 영욕의 정치역정…12·12쿠데타, 6·29선언으로 대권 (0) | 2021.10.26 |
김도읍, 이재명 겨냥? "전과 4범 대통령이 깨끗한 공무원 임명? 코미디인데 할 자신 있나" (0) | 2021.10.26 |
손준성 영장 쳐놓고 이틀간 본인에게 쉬쉬… 법조계 “이건 사기 수사”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