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 난민 36만명 탈출행렬… “여성·아이에겐 지옥 될것”
[카불 함락 초읽기] 탈레반이 재집권하면 ‘인권시계’ 20년 前으로
입력 2021.08.14 03:00
아프가니스탄 정부군과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 간 교전을 피해 쿤드즈와 타카르, 바글란주(州) 등에서 탈출한 주민들이 11일(현지 시각) 수도 카불 시내에 마련된 임시 텐트촌에서 생활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미군의 완전 철군을 2주가량 앞둔 아프가니스탄에서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의 재집권을 두려워하는 주민들의 대탈출이 본격화하고 있다. 유엔국제이주기구(IOM)는 10일(현지 시각) 아프가니스탄에서 5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탈레반의 공격으로 거처를 잃었고, 35만9000명의 난민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난민 중 상당수는 밀무역 트럭에 몸을 싣고 국경을 넘거나, 탈레반 세력이 미치지 않는 정부군 통제 지역으로 대피하고 있다. 1970년대 월남 패망 후 보트피플 사태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영국 BBC방송은 13일(현지 시각) 아동 구호 단체 세이브더칠드런을 인용해 아프간 어린이 7만2000명이 탈레반이 점령한 거주지를 떠나 수도 카불의 난민촌에서 살고 있다고 전했다.
아프간 국민은 탈레반이 재집권하면 여성·어린이 인권을 강도 높게 탄압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20년 전인 지난 2001년 미국이 ‘테러와의 전쟁’을 이유로 아프간에 들어가기 전까지 아프간 사람들은 공개 처형과 가혹 행위를 일삼는 탈레반의 공포정치하에 살았다. 특히 여자 어린이는 기본적 교육도 받지 못했고, 여성은 취업 활동을 제한받은 채 집 안에 갇혀 지내야 했다.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점령지
탈레반이 떠나간 지난 20년간 아프간의 여성·어린이 인권은 크게 개선된 상태다. BBC방송에 따르면 2017년 아프간의 여자 중학생 수는 350만명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한다. 텔레반 치하의 1999년에는 아프간 전체에 여중생이 한 명도 없었고, 새 정부가 들어선 초기인 2003년에는 240만명이었다. 고등 교육을 받는 여성도 크게 늘어 현재 아프간 대학생의 약 3분의 1이 여성이다.
여성들의 사회 진출도 활발해졌다. 현재 아프간 여성의 5분의 1이 직장을 갖고 있다. 개인 사업을 하는 아프간 여성도 수천명이다. 경제력을 갖춘 여성의 가정 내 지위는 높아졌다.
그러나 탈레반이 재집권하게 되면 여성과 어린이 인권 시계는 20년 전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슬람 원리주의에 따라 여성들은 남성 보호자 없이는 외출을 할 수 없고, 외출할 땐 신체 노출을 피하고 종교적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머리부터 발끝까지 오는 ‘부르카’를 착용해야 한다. 부르카는 눈 부위까지 망사로 덮기 때문에 니캅(눈 제외 전신 가리는 복장), 차도르(얼굴 제외 전신 가리는 망토), 히잡(머리카락과 목을 가리는 헤어 스카프)보다 훨씬 엄격하다.
사이공 함락 그날… 월남 대통령궁 정문 부순 월맹군 탱크 -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월남) 수도 사이공에 있는 대통령궁에 북베트남군 탱크가 국기를 달고 진입하고 있다. 베트남 전쟁에서 월남의 패망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꼽힌다. /AFP 연합뉴스
미셸 바첼렛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여성이 남성의 허락 없이 집밖으로 나갈 수 없게 하면 가정에서 일련의 폭력을 낳게 된다”고 했다. 남편이 아내를 소유물처럼 인식하기 때문에 쉽게 폭력을 휘두르고, 발이 묶인 아내는 경제 활동이 불가능해진다는 의미다.
탈레반 치하에서 자유 연애와 결혼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WSJ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탈레반은 북부 타하르주의 루스타크 지역을 점령하고 이 지역 주민들을 모스크(이슬람 사원)에 불러 모은 뒤 “15세 이상의 모든 소녀와 40세 미만의 과부는 반드시 탈레반 군인들과 결혼해야 한다”고 선포했다.
여자 아이들의 교육권은 완전히 박탈된다. 탈레반은 여자 아이들은 초등학교 이상의 교육은 필요 없다며 학교에 다니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탈레반은 최근에도 새로운 지역을 점령하면 가장 먼저 학교를 장악하고, 여학교는 문을 닫거나 아예 불태운다. 지난 5월 9일 수도 카불 시내 여학교 3곳에 대규모 폭탄 공격이 발생해 수백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현지 언론은 이 사건의 배후가 탈레반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탈레반이 여성과 아이들을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남성보다 못한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인명 피해도 심각하다. 유엔아프간지원단(UNAMA)에 따르면 올 1~6월 아프간 사상자 수는 5183명(사망 1659명)이었는데 사상자의 약 32%가 어린이였고, 여성은 14%였다.
탈레반 치하를 경험하지 않은 아프간의 신세대가 탈레반 재집권 이후 극심한 충격을 받을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BBC는 “현재의 아프간 젊은이들에게 탈레반 체제는 상상할 수도 없는 지옥이 될 것”이라고 했다.
관련 기사
집권층 분열, 오합지졸 軍… 아프간, 최신장비 갖고도 자멸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파죽지세로 진격해 수도 카불을 위협하는 지경이 되자, 미국 내에서는 미...
악몽 예견된 철수… 美, 탈레반에 대사관 직원 안전보장 요청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역사상 가장 긴 전쟁을 치렀다. 2001년 이슬람 테러 집단 ‘알카에다’가 민간 여객기를 납치해 뉴욕 ...
한국, 20년간 아프간에 1조원 넘게 지원… 카불 한국대사관 “상황 급박”
아프가니스탄 정세가 악화됨에 따라 현지 한국 대사관에도 비상이 걸렸다. 카불 주재 한국대사관은 매일 타국 외교단 및 국제기구와...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간 내전 격화에 나토 긴급회의…서방국 엑소더스 (0) | 2021.08.14 |
---|---|
카불 함락 임박… 아프간, 월남 패망 데자뷔 (0) | 2021.08.14 |
독립이론 만든 ‘대만의 매운 언니’, 시진핑에 대등한 대화 요구 (0) | 2021.08.14 |
Samsung's Lee Jae-yong released on parole (0) | 2021.08.13 |
"조국 아들 포함 고교생 서울대 인턴한 적 없다"…조국 "기억해달라"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