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쥴리 벽화’ 파란 눈 그녀의 정체… 5년 전 그려진 호주 벽화의 팝스타?
입력 2021.08.01 15:09
서울 종로구 관철동 한 건물에 그려진 쥴리 벽화(왼쪽)와 2016년 7월 호주에 그려졌던 테일러 스위프트 벽화. /김명진 기자, lushsux 인스타그램
긴 금발에 파란색 눈동자. 지난달 서울 종로구 관철동 한 건물 외벽에 그려진 ‘쥴리 벽화’ 속 여성은 어딘가 낯설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부인인 김건희 씨를 비방했다는 논란을 낳았지만 왜인지 전형적인 백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온라인상에서는 쥴리 벽화와 똑 닮은 벽화가 화제를 모으고 있다. 2016년 호주 멜버른 한 도시에 그려진 세계적인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이다. 이 벽화에는 당시 미국 연예계를 뒤흔들었던 ‘테일러 스네이크(snake) 사건’이 얽혀있다.
◇“쥴리의 꿈” 써놓고 금발 여성…테일러 스위프트 본떴나
쥴리 벽화에는 한 여성의 얼굴이 커다랗게 담겨있다. 그리고는 “쥴리의 꿈! 영부인의 꿈!”이라는 문장이 쓰여있다. 빨간색 하트에 칼이 꽂혀 있고 그 위에 ‘쥴리의 남자들’이라는 글귀가 적힌 그림도 있다. ‘2000 아무개 의사, 2005 조 회장, 2006 아무개 평검사, 2006 양검사, 2007 BM 대표, 2008 김 아나운서, 2009 윤서방 검사’라는 문구도 더해졌다.
‘쥴리’는 김씨 관련 루머에서 그를 지칭하는 별칭이다. 벽화에 나열된 이름들 역시 모두 같은 음모론에서 ‘김씨 연관 남성’으로 등장한다.
일부 네티즌이 주목한 건 여성의 얼굴이다. 김씨를 가리키는 ‘쥴리’를 그린 것으로 보이지만 하얀 피부, 금발, 파란 눈동자가 선명하게 표현된 것을 두고 ‘뭔가 이상하다’ ‘어색하다’ 등의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의문을 해소할 그림이 온라인상에 등장했다. 호주 그래피티 아티스트 러시석스가 2016년 7월 호주 멜버른 한 건물 외벽에 그린 작품이다. 머리카락과 생김새 모두 쥴리 벽화에 등장하는 여성과 매우 유사하다. 왼쪽에는 ‘테일러 스위프트 1989~2016: 사랑의 기억에서’라는 글귀가 적혀있는데, 멀쩡히 살아있는 테일러의 죽음을 뜻하는 내용이다.
◇테일러VS칸예 갈등…벽화 속 이야기
이 벽화에 얽힌 이야기는 2009년 MTV 뮤직 어워드 현장에서 시작된다. 당시 신인이었던 테일러는 여자 뮤직비디오 부문 최우수상 수상자로 호명된다. 그가 무대에 올라 벅찬 수상 소감을 전하는데, 래퍼 칸예 웨스트가 갑자기 무대에 난입해 마이크를 뺏는다. 그러더니 “테일러가 상을 받아 기쁘긴 해. 근데 비욘세의 뮤직비디오가 역대 최고야”라는 돌발 발언을 한다.
테일러 스위프트. /AP 연합뉴스
그렇게 시작된 테일러와 칸예의 악연은 7년여가 흐른 2016년 또 한 번 폭발했다. 칸예가 테일러를 노골적으로 저격한 곡 ‘페이머스’(Famous)를 발표하면서다. 그는 노래에 “테일러랑 잘 수 있을 것 같아. 내가 그 X(bitch)을 유명하게 만들어줬으니까”라는 가사를 담는 거로 모자라, 뮤직비디오에 테일러를 본뜬 알몸 밀랍 인형을 등장시키기도 했다.
비판 여론이 일자 칸예는 “테일러가 해당 가사에 대해 허락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테일러는 곧장 입장문을 내 “내게 동의를 구한 적 없다”고 맞섰다. 이후 이번에는 당시 칸예의 아내였던 킴 카다시안이 나서 재반박을 거듭했다. 칸예와 테일러의 통화 녹취록을 공개한 것이다. 거기에는 테일러가 가사를 들은 뒤 “멋진 것 같다”고 호응하는 부분이 나온다.
◇‘테일러는 죽었다’ 벽화 등장…마지막 반전 있었다
대중들은 테일러를 향한 십자포화를 쏟아냈다. 킴 카다시안 역시 인스타그램 등에 뱀 이모티콘을 연달아 게시하는 등 테일러를 향한 공격에 가세했다. 테일러에게는 거짓말쟁이라는 별명이 따라다녔고 이 일은 테일러 스네이크(snake) 사건으로 불리게 됐다.
반전은 지난해 3월 일어났다. 칸예에 대한 여론이 뒤집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녹취록이 사실은 다른 부분을 짜깁기한 것이라는 게 밝혀진 거다. 진실은 이렇다. 원래 통화에서 칸예는 논란이 된 ‘비치’(bitch)라는 단어를 아예 언급하지 않는다. 또 대부분의 가사가 실제 발표된 것보다 순화된 내용이었다. 테일러는 “가사 내용이 나쁘지는 않지만 좀 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한 뒤 다른 부분 가사를 듣고 “멋진 것 같다”는 평가를 한다.
멜버른의 벽화는 테일러가 비난을 받을 당시 그려졌다. 당시 러시석스는 인스타그램에 해당 벽화 사진을 올리고 “최근 테일러의 죽음은 가슴 아프다. 그녀의 기억을 기리는 기념관에 꽃을 남겨두고 촛불을 켜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테일러가 이번 사건으로 연예계에서 퇴출당했으며 대중들에게도 ‘죽은 사람’으로 여겨질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셈이다.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관철동의 한 중고서점 외벽에 그려진 이른바 '쥴리 벽화'. 전날까지 적혀 있던 '쥴리의 꿈! 영부인의 꿈!' 같은 문구가 흰색 페인트로 칠해져 있다. /김명진 기자
쥴리 벽화 속 빨간색 하트 그림도 멜버른에 있는 벽화와 유사하다. 2013년 멜버른이 지역 예술가 100여명을 모아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당시 그려진 그림이다. 이 작품에는 빨간색 하트와 칼이 꽂힌 부분 모두 쥴리 벽화와 똑같다. 다만 하트 가운데에 ‘멜버른’(MELBOURNE)이라는 문구가 적혔다.
윤형준2021.08.01 15:48:34
갱갱이 표절까지했어?
김현수2021.08.01 15:47:05
두부에서는 창의적인 그림이 나올 수 없지.....
노주윤2021.08.01 15:48:41
에혀 ?? 그나마 짭이었어 ?? 에혀... 그 지혜의 박약함이란... ㅠㅠ
이상엽2021.08.01 16:02:32
사기 조작..표절이 아니면 대깨문이 아니지....ㅋㅋㅋㅋ 무뇌족속들이니깐.
강성훈2021.08.01 15:53:55
뭐든지 제대로 하는 게 하나도 없네
손영석2021.08.01 15:58:38
ㅋㅋ 표절 배웠냐 설대 법대교수에게 ㅋㅋ
전승기2021.08.01 16:00:43
역시 싸구려들 이었다.
정재식2021.08.01 17:04:24
그쪽 결국 특유의''뒤통수였네
김종욱2021.08.01 18:17:44
결국 풍자가 아니라 사기 친거네. 책방 주인도 알고 그랬을텐데. 부끄러운줄 알아야지.ㅉㅉㅉㅉ.
이승복2021.08.01 16:00:34
그나마 표절질씩이나 했다는 것이냐? 하긴 깨진 대갈들이니까! 삶은 대갈로 해도 마찬가지일 테지. 암튼 역효과질 하느라 개고생했다. 또 계속해 보거라이?
여성변호사들 “‘쥴리 벽화’는 명백한 인권침해…표현의 자유 아냐”
한국여성변호사회(여성변회)가 최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부인 김건희씨를 비방하는 내용이 그려진 이른바 ‘쥴리 벽화’에 대해 “...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중권 "남근의힘" 비판에, 이준석 "페북 또 정지 먹어요" (0) | 2021.08.01 |
---|---|
시민단체 활빈단, ‘쥴리 벽화’ 서점 주인 경찰 고발 (0) | 2021.08.01 |
“지금 정권은 헛똑똑이… 老子라면 질타했을 것” (0) | 2021.08.01 |
“애국의 國은 대한민국… 나라 파괴한 이들 애국자라 불러선 안돼” (0) | 2021.08.01 |
'文정부 절정' 전대협의 반전···민주당 빅3도 존재감 없다 (0) | 202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