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모은 '보물' 곰팡이에 전멸…서울대 연구실 대참사 전말
업데이트 2023.02.19 23:39
서울대 생명과학부가 70~80년간 모은 동물 표본 수백점이 2021년 표본실에 창궐한 곰팡이 때문에 모조리 폐기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임영운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이 사건을 다룬 ‘표본실 진균(곰팡이) 대재앙:수많은 동물의 흔적을 지운 단 일주일’이란 논문을 지난해 12월 미생물학회지에 수록했다.
![](https://blog.kakaocdn.net/dn/oTep0/btrZJbWSy6K/2WVUw4ub9UqSPg7K2AfrUk/img.jpg)
지난 2021년 8월 서울대 24동 지하 표본실을 덮은 진균(곰팡이). 사진 서울대 진균생태계통학 연구실
19일 임 교수와 서울대 진균생태계통학 연구실 등에 따르면 표본들은 2007년 서울대 자연과학대가 위치한 24동의 지하실로 옮겨진 후 담당 교수를 통해 관리돼왔다. 그러나 2021년 2월 해당 교수가 은퇴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교수의 은퇴로 연구원들까지 떠나 아무도 온도조절기 이상을 알아차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통상 섭씨 23도, 습도 약 20%로 유지됐던 표본실 온·습도는 2021년 8월 10일 발견 당시엔 섭씨 30도, 습도 70%를 넘어섰다. 높은 온·습도 탓에 방치된 표본실에는 곰팡이가 창궐했다. 임 교수는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표본실의 문을 열자 곰팡이 냄새가 강하게 났다”며 “대형 박제들과 플라스틱병들이 층층이 있었는데 모두 검고 흰 곰팡이가 덮인 모습이었다. 습도가 높아 축축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https://blog.kakaocdn.net/dn/AvBWe/btrZPTHlyuA/uTEv7WoH3NT20jvxA7ssCk/img.jpg)
지난 2021년 8월 서울대 24동 지하 표본실에선 벽과 바닥, 플라스틱 용기 등에서도 곰팡이가 발견됐다. 사진 서울대 진균생태계통학 연구실
표본실엔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지난 70~80년 간 모은 동물 수백점의 박제 등 표본이 있었다. 특히 연구 가치가 큰 천연기념물 따오기 등 멸종위기종의 박제도 있었는데, 멸종위기종의 경우 우연히 동물의 사체가 발견되기 전까진 새 표본을 만들기 어렵다.
그러나 결국 학교 측은 이 표본들은 전량 폐기됐다. 당장 눈에 보이는 곰팡이는 닦아 낼 수 있지만 곰팡이가 어디까지 침투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논문에 참여한 김지선 연구원은 “귤의 경우에도 일부분만 곰팡이가 보여도 버려야 하는 것처럼, 곰팡이는 한 곳에서 눈에 보일 정도로 피면 실제로는 전체적으로 퍼져있다고 봐야 한다. 표본실 전체가 곰팡이에 덮여 있었던 만큼 회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모두 처분했다”고 전했다.
또 진균류는 호흡을 통해 폐에 들어가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어 임 교수의 연구팀은 시료 채취 후 전문 업체를 불러 표본실을 청소해야 했다. 임 교수는 “동물 표본은 중요한 기록 자료로 추후에 한반도 생물 주권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고, 유전 공학이 발달하면서 공룡화석에서 DNA를 뽑아 쓰듯이 나중에는 이 표본 속 DNA가 어떻게 쓰일지 모른다”며 “공룡화석은 귀하게 생각하면서 표본은 중시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워 논문을 썼다”고 전했다.
김홍범 기자 kim.hongbum@joongang.co.kr
-
esea****4분 전
책임자는 누구이며 어떤 처벌을 받았는가? 현장확인 후 이미 17개월이 지났는데 기사에 이 내용은 없으니 궁금하고도 의아하다. 혹시 말 못하는 곰팡이만 처벌?
좋아요0화나요0 -
wide****4분 전
이런 어이없는 일이...안타깝네요. 단 한 명이라도 책임감이 있었다면 ...
좋아요0화나요0 -
insi****7분 전
애당초 지하실(옛날에 지은 것들은 습기사 많다)에 박제 표본실을 만든게 근본 원인이다. 상식이 없네.
좋아요0화나요0
12개 댓글 전체 보기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부 “北 식량난 심각, 굶어죽는 주민 속출...지원 바라는 듯” (0) | 2023.02.20 |
---|---|
“30초간 폭발 아! 열압력탄” 러 부대 순식간에 ‘전멸’ (0) | 2023.02.20 |
런던 北대사관 앞 탈북민 시위... 北 대사 항의하다 제지당했다 (0) | 2023.02.19 |
北 최신예기도 격추 가능... 국산 무인 스텔스 전투기 편대 뜬다 (1) | 2023.02.19 |
괌에서 날아온 B-1B... 韓美, 北ICBM 도발에 전투기 10대 띄웠다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