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천하의 역적' 푸틴 때릴때…美석학이 찍은 '진짜 악당' [뉴스원샷]
입력 2022.03.05 05:00
푸틴은 바보가 아니다, 라고 미국의 강대국 외교 전문 석학 미어샤이머는 얘기합니다. 미어샤이머가 맞기를 바랍니다.TASS=연합뉴스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천하의 역적으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전범(戰犯) 표현도 더는 새롭지 않죠. 우크라이나를 공격한 푸틴은 물론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그러나 세상사 그리 간단할까요. 비판을 자초한다는 건 누구보다 푸틴 본인이 잘 알고 있었을 겁니다. 그런데 왜 전쟁을 일으켰을까요. 푸틴 한 명 악당으로 만든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다양한 깊이 있는 분석을 탐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실 우크라이나 전쟁은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온)’ 문제가 아닙니다. 일종의 휴화산 같은 존재였습니다. 국제지정학 전문가들 사이에서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 나왔던 까닭이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들도 우크라이나 지지를 선언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주한 러시아 대사관 앞의 한 시민이 든 우크라이나 지지 피켓입니다. 뉴스1
따져보자면 1994년 우크라이나의 핵 포기 선언부터 일촉즉발이었다고 볼 수 있다고 하네요. 당시 우크라이나는 핵을 포기하는 대신 미국과 러시아에 안전 보장을 약속받는 부다페스트 각서에 서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으로 휴짓조각이 됐습니다. 8년이 지나 푸틴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개시했습니다. 그 사이에 미국 등 서방 강대국이 손을 놓고 있었던 게 잘못이라고 꼬집는 서방의 국제전문가들이 있습니다. 대표주자가 존 미어샤이머 미국 시카고대 교수입니다. 강대국 중심 현실주의 외교를 연구해온 석학이죠.
그는 수년간 꾸준히 “우크라이나는 핵을 포기한 순간부터 러시아의 침략에 직면한 것”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2014년 푸틴이 크림반도를 강제 합병했을 때도 그는 한 논문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서구 세계에선 이번(2014년) 우크라이나 위기를 놓고 러시아의 침략을 비판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다들 푸틴이 이젠 우크라이나를 넘어 동유럽 국가들을 노릴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잘못됐다.”
국제정치 대가, 존 미어샤이머 미국 시카고대 교수. 수년 전 방한 당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던 현장의 사진입니다. [중앙포토]
이번 전쟁을 두고도 미어샤이머 교수의 비판의 날은 푸틴보다는 미국을 향합니다. 침략 결정을 내린 건 푸틴인데, 우크라이나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대(對) 러시아 제재를 본격화하는 미국이 잘못이라니? 무슨 이야기일까요. 푸틴이 잘했다는 게 아니라, 푸틴을 막지 못하고 사태를 방관해온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잘못이라는 게 핵심입니다. 미어샤이머 교수를 미국 주간지 뉴요커가 지난 1일 인터뷰했습니다. 핵심을 추려 소개합니다. 읽는 맛을 살리기 위해 뉴요커의 국제문제 전문 기고자와 미어샤이머의 논쟁을 질의응답 형식으로 그대로 전합니다.
러시아 폭격으로 폐허가 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인근 지역. AF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침공최신 기사
-
푸틴이 '체르노빌 공포' 건들자…유럽, 1년치 요오드 동난 이유
2022.03.05 05:00
-
'당당한 G8' 자랑한 文정부, 우크라엔 매번 G7보다 늦었다 [뉴스원샷]
2022.03.05 05:00
-
'에르메스백' 이제 러시아서 못산다, 이케아·애플 이어 사업중단
2022.03.05 01:52
결국 강대국 현실외교의 대가답게, 미어샤이머 교수는 지금 미국에 문제인 건 러시아가 아니라 중국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설파합니다. 그렇다면 우크라이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는 ‘모두스 비벤디(modus vivendi,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공존하는 법을 모색하는 합의)’라는 단어를 언급했습니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모두스 비벤디를 맺을 가능성은 꽤 크다고(serious possibility) 본다. 러시아로서도 이제 와서 우크라이나를 정복하고 우크라이나의 (민주주의를) 사회주의로 되돌리려 하는 건 문제를 자초하는 일이다. 러시아가 그렇게 바보는 아니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