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오징어 사업 투자 사기로 술집 운영해 수천만원 수익... 정치·언론인 접대도?
입력 2021.07.03 04:30 수정 2021.07.03 08:14
김씨, 연초 포항시청 인근 바(BAR) 인수
직원 명의로 꾸미고 수익금 전부 챙겨
"사기로 모은 돈 술집에 투자됐다" 증언
현재도 정상영업… "범죄수익 환수 안돼"
수산업자 김모씨가 실소유하고 있는 경북 포항 남구에 위치한 한 바의 모습. 포항=오지혜 기자
현직 부장검사와 경찰 간부, 중견 언론인들과 어울리며 금품을 뿌린 수산업자 김모(43)씨의 자금원 중 하나는 고향인 경북 포항에서 운영하던 술집으로 파악됐다. 이 술집은 지난 3월 말 김씨가 사기 혐의 등으로 구속된 뒤에도 정상 영업하며 매달 수천만 원의 수익을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씨는 올해 초 포항 남구에 있는 바(bar) 형태의 술집을 인수했다. 포항시청 인근 유흥가에 위치한 이 업소는 여성 종업원을 3명 정도 두고 영업하면서 보통 한 달에 3,000만~4,000만 원 수준의 매출을 내고 있다. 김씨는 업소 명의를 자신이 세운 수산회사 직원 A씨 앞으로 해놓고 수익은 모두 자신이 챙겼다.
김씨 주변에선 김씨가 투자 사기로 모은 돈을 술집에 투자했다는 증언이 나온다. 앞서 김씨는 언론인 출신 정치권 인사 B(59)씨를 통해 알게 된 인사들에게 "선동 오징어(선상에서 급랭한 오징어) 매매 사업에 투자하면 큰 돈을 벌 수 있다"고 속여 돈을 가로챘다가 최근 구속됐다. 지금까지 7명이 총 116억 원가량의 사기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됐는데, 피해자 중엔 김무성 전 의원의 친형도 있다.
해당 술집은 김씨 구속 이후로도 평소처럼 운영되고 있지만, 수익은 다른 사람이 챙기고 있다는 증언도 나온다. 김씨 수산회사 직원 C씨는 "실소유주는 김 회장(김씨)이지만 명의자가 A씨이다 보니, 김 회장이 구속되자 A씨가 모든 매출액을 착복하고 있다"면서 "엄연히 김 회장의 사기 범죄 수익금인데 몰수나 추징 보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C씨는 김씨가 이 술집을 정치인이나 언론인 접대 장소로 삼았다는 의혹은 부인했다. C씨는 "김 회장이 언론인·정치인들과 포항 모처에서 2019년쯤 술자리를 가진 적이 있을 뿐이며, 지금 (김씨의 관리 대상으로) 뉴스에 거론되는 유명인들은 이 술집에 온 적이 없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김씨가 포항에서 언론인 등을 성접대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정치인과 언론인을 상대로 성접대가 이뤄진 적은 없다"고 말했다.
포항= 오지혜 기자 5g@hankookilbo.com
포항= 김정혜 기자 kjh@hankookilbo.com
수산업자 “박지원 국정원장에게도 선물”…수사는 정치권으로
박종민 기자 , 권오혁 기자 입력 2021-07-03 03:00수정 2021-07-03 03:22
경찰, 진술 확보… 정치권 로비 수사
朴원장측 “선물 받았지만 이름 몰라”
검찰 및 경찰 간부 등에 대한 수산업자 김모 씨(43·수감 중)의 금품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은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등 정치권 인사에게 김 씨가 선물을 보냈다는 진술을 확보해 수사하고 있다.
2일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씨는 지난해 한 정치인의 소개로 박 원장을 만나 식사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김 씨는 “체육계에서 활동하고 있고, 수산업체와 인터넷 언론 등을 운영하는 사업가”라고 자신을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김 씨는 박 원장 등에게 수산물을 선물로 전달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박 원장 측은 “전직 동료 국회의원 소개로 김 씨를 만났고, 이후에는 만나지 않은것 같다”며 “김 씨에게 선물을 받은 것은 맞지만 김 씨의 이름도, 선물을 받은 시점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경찰은 김 씨가 박 원장뿐만 아니라 다수의 여야 정치권 인사와 친분이 있는 것으로 보고 수사하고 있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사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위반 혐의의 피의자로 입건돼 조사를 받고 있는 경찰대 출신의 총경급 간부 A 씨도 고교 동문인 야당 중진 의원으로부터 김 씨를 소개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김 씨가 평소 친분이 있는 정치권 인사, 검찰과 경찰 간부 등에게 독도새우와 영덕대게 등 수산물을 선물로 보낸 것으로 파악하고, 선물 명단을 조사하고 있다.
주요기사
또한 경찰은 김 씨로부터 “국정농단 사건 특별검사인 박영수 변호사를 통해 B 검사를 알게 됐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진위를 조사하고 있다. 김 씨에게 명품시계를 포함해 2000만∼3000만 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로 사무실과 자택 등이 압수수색된 B 검사는 박 변호사와 함께 근무한 이력이 있다. 동아일보는 박 특검의 해명을 듣기 위해 수차례 접촉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박종민 기자 blick@donga.com
권오혁 기자 hyuk@donga.com
2021-07-03 06:13:36
100억대 사기행각에 우리나라 국정원장 나리께서 연루가되고 김무성이와 등등이 연루가 되었다고 한국일보가 대서특필했네?? 전직 국정원 직원이 데모들 하실만 했던거지.., 이러니, 북한에 해킹당했다 주장한 것들이 사실이겠니?? 넘겼겠니???
'The Citing Artic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경율 “尹 2013년 징계 사유 관보에 있는데, 거짓말해대는 사람들” (0) | 2021.07.03 |
---|---|
부장검사, 명품시계 ‘IWC’ 준 수산업자에 “고맙다” 문자…압수수색 결정적 증거 (0) | 2021.07.03 |
윤희숙 “탈레반에게서 권력 되찾아 오겠다” (0) | 2021.07.03 |
美 “中은 인신매매단-인종학살범” 시진핑 위협에 즉각 반격 (0) | 2021.07.03 |
이래서 그렇게 법사위… '33조 추경' 심사 앞두고 '위원장' 쟁탈전 (0) | 2021.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