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iting Articles

바이든, G7 정상 반중 연대 이끌었다

Jimie 2021. 6. 14. 09:27

바이든, G7 정상 반중 연대 이끌었다

최종수정 2021.06.14 04:02 기사입력 2021.06.14 04:02

 

G7 정상회의 후 기자회견서 중국 비판 나서
G7 성명도 중국 문제 지적
2018년엔 북·러 문제만 거론해 대조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중국에 맞서는 민주국가들의 연대를 이끌어 냈다. 바이든 대통령은 G7정상회의 후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도 강하게 중국을 압박하는 등 중국에 맞서는 자유 진영의 리더라는 입지를 확고히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G7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미국은 협상 테이블로 복귀했고, 완전히 관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민주주의 국가들이 독재국들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미국은 독재국가라는 표현으로 중국에 대한 비판을 이어왔다.

 

그는 중국의 신장 위구르 소수민족 대응에 우려를 표명하며 "더 책임있게 행동하라"고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코로나19 기원설 조사에 대한 협력도 요구했다. 그는 "우린 동물들 및 그런 환경과 교감한 박쥐 시장에서 코로나19가 유발됐는지, 실험 실패 여부에서 비롯됐는지를 판단할 실험실에 접근하지 못했다"며 "아직 정보 당국이 확신하지 못해 나는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중국의 비협조로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언급한 것이다.

 

G7도 폐막 성명을 통해 중국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미국의 입장에 동조했다.

 

정상들은 성명에서 중국의 홍콩 민주화 세력 탄압과 신장지구 강제노역, 대만과의 갈등, 무역문제 등을 거론하며 대중국 공세를 강화했다.

 

성명은 "중국에 신장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를 존중할 것과 홍콩반환협정과 홍콩 기본법이 보장하는 홍콩의 권리와 자유, 고도의 자치를 지키라고 촉구함으로써 우리의 가치를 증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G7 정상은 이어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도 언급했다. 남중국해에서의 갈등에 대한 우려도 빠지지 않았다.

 

G7들의 우려는 중국과의 경제갈등도 포함했다. G7 정상들은 글로벌 경제의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저해하는 중국의 비시장(Non-Market) 정책과 관행에 대응하기 위한 집단적 접근 문제를 지속해서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G7정상회담의 결과물에 북한이나 러시아가 아닌 중국이 집중적으로 거론된 것 자체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는 "2018년도 G7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는 북한과 러시아에는 한 문단이 통으로 할당됐지만, 중국은 명시적으로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면서 "당시엔 중국과 관련해서는 어떤 것에서도 합의에 이를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장관도 이날 ABC, CBS 방송과 연이어 인터뷰하며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이 제기한 도전에 맞서 G7 회원국을 통합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는 모든 분야에서 중국을 힘의 우위에서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회의가 자신이 참석했던 정상회의 중 가장 중요했다면서 "민주주의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 각국 국민과 전 세계인에게 구체적인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실제로 증명했다"고 전했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

 

The Group of Seven (G7) is an inter-governmental political forum consisting of Canada, France, Germany, Italy,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Its members are the world's largest IMF-advanced economies and wealthiest liberal democracies;

the group is officially organized around shared values of pluralism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47th G7 Summit

Logo of the 2021 47th G7 summit

 

The 47th G7 summit was held on 11–13 June 2021 in Cornwall in the United Kingdom while it holds the presidency of the G7.

The participants included the leaders of the seven G7 member states as well as representatives of the European Union.

2021년 6월 11일(현지시간) 영국 남서부 콘월의 카비스 베이에서 막을 올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참가국 정상들이 단체 기념사진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사진=AFP/연합뉴스 제공)

 

 

G7 정상회의의 의장국인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이번 정상회의 개막 전 성명을 통해 한국과 호주, 인도, 남아공을 더한 11개국을 ‘민주주의 11(D11)’이라고 불렀다. 그러면서 “G7을 D11로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일각에서 제기됐다.

 

"한국이 G7에? 게스트로만 괜찮다"…일본의 D11 반대 이유

 

입력 2021-06-13 21:33 수정 2021-06-13 21:35

 

 

일본이 주요 7개국(G7)에 한국,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참가시켜 'D11'으로 확대하는 것에 반대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13일 니혼게이자이는 G7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이 "게스트(손님) 국가로 한국·호주·인도를 부르는 것은 괜찮지만 G7 틀의 확대에는 반대라고 호소했다"고 밝혔다.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인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한국 등 4개국과 G7을 아울러 '민주주의(Democracy)11'이라는 의미로 D11이라고 개막 직전 성명에서 규정했다.

G7 대신 D11이 부상할 것이라는 일각의 시선에 대해 일본 정부가 반대 뜻을 내비친 것이다. 한국이 참가할 경우, 일본은 아시아 유일 G7 국가라는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

올해 G7 정상회의에는 한국,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게스트로 초청됐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G7 Leaders’ and Guests Family Photo

 

United Kingdom Prime Minister Boris Johnson poses with the world leaders at the extended family photocall during the G7 Summit at Carbis Bay hotel in Cornwall, UK on 12th June 2021.

 

Core G7 MembersThe host state and leader are shown in bold text.

 

MemberRepresented byTitleCanadaFranceGermanyItalyJapanUnited Kingdom (Host)United StatesEuropean Union

Canada Justin Trudeau Prime Minister
France Emmanuel Macron President
Germany Angela Merkel Chancellor
Italy Mario Draghi Prime Minister
Japan Yoshihide Suga Prime Minister
United Kingdom Boris Johnson Prime Minister
United States Joe Biden President
European Union Ursula von der Leyen Commission President
Charles Michel Council President

 

The Prime Minister of the United Kingdom, Boris Johnson,  invited leaders from India, South Korea, South Africa and Australia.

 

Invitees

Indian Prime Minister Narendra Modi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South African President Cyril Ramaphosa

Australian Prime Minister Scott Morris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Boris Johnson is attempting to expand the G7 group, a meeting forum for the world's leading economies, to create the D11, a forum for the world's 11 leading democra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