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iting Articles

국민은 목숨 걸고 아스트라제네카 맞게 하고, 청와대는 화이자 맞았다.

Jimie 2021. 4. 24. 08:09

국민은 목숨 걸고 아스트라제네카 맞게 하고, 청와대는 화이자 맞았다. 이게 나라냐? [RNB, 레지스탕스TV, 정광용TV]

52,850 views

Streamed live 10 hours ago

 

https://www.youtube.com/watch?v=zLURNPvEHbU

Pinned by [정광용 TV]레지스탕스TV

[정광용 TV]레지스탕스TV

9 hours ago (edited)

아래 댓글에 질문이 있었습니다. >>> 이게 진짜 사실인가요? >>> 답변 : 사실입니다. 정광용TV는 가짜뉴스를 취급하지 않습니다. 가짜 뉴스는 김어준 같은 사람이 취급하는 겁니다.

 

강철성

9 hours ago

사망자4월18일까지 56명이라고 국민일보에 보도되었습니다

 

 

입력2021.04.23 17:10 수정2021.04.24 00:43 지면A6

 

필수목적 해외출장 1637명 先접종

외교부가 신청한 119명만 '화이자'
韓·美 정상회담 참가자들인 듯

필수활동 목적의 해외 방문자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이 허용된 이후 지난 16일까지 1637명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접종을 승인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높은 효능과 안전성으로 접종자들이 선호하는 화이자 백신은 외교부 공무원 등 124명(7.6%)만 맞았다. 나머지 92.4%인 1513명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했다.


23일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이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으로부터 받은 ‘필수활동 목적 출국 대상자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에 따르면 총 1637명이 해외 출장 등에 앞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국방부 349명을 비롯해 외교부(214명) 소방청(101명) 국회(34명) 국가정보원(24명) 문화체육관광부(12명) 경찰청(10명) 공무원 등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문재인 대통령 내외는 지난 3월 24일 영국에서 오는 6월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이유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공개 접종했다. 서훈 국가안보실장, 유연상 경호처장 등 필수 수행원 9명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관련기사

화이자 백신은 청와대와 외교부 공무원 등 필수 공무 출장자 119명, 민간인 해외 방문자 5명만 접종 승인을 받았다. 5명의 민간인은 영화배우 윤모씨와 그의 동반자, 신부 3명 등이다.


서 의원 측은 화이자 백신 접종 승인 대상자 대부분은 청와대·외교부 공무원, 취재기자 등이라고 전했다. 외교부가 대표로 질병관리청에 일괄 신청해 승인을 받았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필수활동 목적 출국 때 예방 접종 대상자에 대해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원칙으로 한다”면서도 “출국까지 일정이 4주 미만 등 출국 일정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대상자에게 적합한 백신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방문 예정 국가나 기관에서 특정 백신의 예방 접종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질병관리청은 화이자 백신 접종 승인 대상자는 한·미 정상회담 관련자들로, 2차 접종 기간 문제 때문에 불가피하게 화이자 접종을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야당에서는 이 같은 해명이 석연치 않다고 지적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역시 긴급 접종 승인을 할 경우 2차 접종 간격은 4주로, 화이자와 접종 간격 차가 1주일 남짓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현재 예상되는 한·미 정상회담 시기도 5월 말로, 정부의 설명과는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

 

서 의원 측은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상황에서 화이자 백신 접종 승인이 공정하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야권에서는 한·미 정상회담 이유 때문이라고 해도 화이자 백신만 맞은 것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동훈/이선아 기자 leedh@hankyung.com

 

질병청 "'외교부 공무원 화이자 접종' 사실과 다르다"

 

입력 2021-04-23 19:34 수정 2021-04-23 19:36

질병관리청은 한미정상회담에 참석하는 외교부 공무원 등이 아스트라제네카(AZ)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아닌 화이자 백신을 맞았다는 보도와 관련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23일 질병청은 설명자료를 내고 "필수 활동 목적 출국자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원칙이며, 연령 제한이나 출국 일정 등 불가피한 경우에 다른 백신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시간적 여유가 없어 관련 공무원(89명)과 기자단(30명) 등 출장단 119명에 대해 4월 중순 화이자 백신을 접종했다"며 "출국 일정을 고려할 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는 2차 접종을 완료할 수 없어 기한 내 접종을 마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백신을 제공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1∼12주, 화이자 백신은 3주 간격으로 2차 접종을 권고한다. 출국 일정이 촉박한 경우엔 접종 간격이 짧은 화이자 백신을 맞게 된다는 것이 질병청의 전언이다.

앞서 질병청은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출장단(137명)은 올 6월 출국 일정으로 충분한 시간이 있어 지난 3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1차 접종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김정호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