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은 스웨덴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이 1895년 매년 인류를 위해 크게 헌신한 사람에게 주라는 유언에 따라 수여하는 국제적인 상이다. 물리, 화학, 생리ㆍ의학, 문학, 평화, 경제 등 6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상이다.
1901년 처음 시상 때는 5개 부문이었으나, 1968년 경제학상이 추가되어 6개 부문으로 시상하고 있다.
스웨덴 한림원은 매년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노벨상 수상자 후보를 사전에 노미네이트 한 후 단수 또는 복수의 수상자를 발표한다.
노벨상은 설립 이후 노벨재단이 주관하고 있으나 부문별 수상자 선정기관은 다르다. 물리학상과 화학상은 스웨덴 왕립과학원, 생리학ㆍ의학상은 카롤린스카 의과대학교 노벨총회, 문학상은 스웨덴 아카데미, 평화상은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경제학상은 스웨덴 중앙은행이 심사하여 선정한다.
그런데 노벨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시상하고, 나머지 상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시상한다. 평화상이 노르웨이에서 시상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웃인 두 나라가 경쟁과 협조를 유지해온 미묘한 관계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다.
스웨덴의 화학자이자 산업가인 알프레드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여 큰돈을 벌었다. 그러나 이 화약이 산업발전의 목적에만 사용되지 않고 인명살상용 군사적 무기로 사용되고 있는 것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그의 형 루드비히가 사망한 것을 자신이 죽은 것처럼 잘못 보도한 한 프랑스 신문의 부고를 보고, 그를 `죽음의 상인`이라고 비난한 것이 노벨상을 만든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다고 한다.
그는 유언에서 유산 98%를 노벨상 설립에 사용토록 기증했다.
지금까지 6개 분야 노벨상수상자 수는 1,190명으로 국적은 82개국이다. 최다수상 국가는 403명인 미국이며, 일본은 29명으로 7위에 랭크되어 있다. 한국은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민주화 공로로 수상한 노벨평화상이 유일하다. 이처럼 1,190명이 노벨상을 수상했지만 수상자의 적격여부에 대한 논란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특히 노벨평화상과 문학상에 대한 시시비비가 끊이지 않아 노벨상에 대한 권위가 예전 같지 못함을 실감한다. 70년대까지 세계문학평단에서는 `노벨 문학상은 사실상 노벨이라는 거죽을 뒤집어쓴 반정부 프로파간다의 정치 쇼`라고 격렬히 비판했다.
1958년 당시 러시아의 파스테르나크가 소련 정부와의 불편한 관계 때문에 수상을 거부하는 것을 강제로 수상시켰다. 그 외 파무크, 오에, 그라스, 카오싱 젠, 옐리네크, 알렉시예비치 등도 그런 경우였다. 국가나 정부의 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작가들이 수상하는 일이 많다는 점이었다.
노벨문학상 논란의 최고 정점은 바로 레프 톨스토이의 수상 불발이었다. 러시아의 대문호로 세계 최고의 작가였던 그는 문학상뿐만 아니라 평화상을 받고도 남을 위인이었다. 그는 실제 노벨평화상 후보에 4번, 문학상후보에 16번이나 노미네이트되었지만 수상은 불발되었다. 이는 노벨문학상 역사의 최대 오점으로 기록되었다.
이때 스웨덴, 덴마크 등 유럽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거센 항의와 서명운동까지 벌어졌다. 이에 톨스토이 본인은 `노벨상을 받지 못해서 오히려 다행입니다`라는 요지의 공개서한까지 썼어야 했다. 이에 대한 노벨위원회의 변명은 궁색하기 짝이 없다. `톨스토이의 많은 작품에 매혹을 금할 수 없지만 이 작가의 이상주의가 얼마나 건전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였다.
그를 정치적이고 사상적인 이유로 제척한 한림원의 잘못은 노벨문학상의 흑역사로 남아있다.
이런 불공정한 기준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지 못한 불멸의 작가들은 부지기수이다. 마크 트웨인, 프란츠 카프가, 조지프 콘레드, 호르헤 루이스, 버지니아 울프, 마르셀 프루스트, 블라디미르 나브코프, 니코스 카잔차키스, 제임스 조이스, 막심 고리키, 헨리크 입센, 에밀 졸라, 올러스 헉슬리, 시어도어 드라이저, 라이나 마리아 릴케, 안톤 체호프 등등 기라성 같은 작가들이 수상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런데 의외의 수상자도 있다. 2차 세계대전 영웅 윈스턴 처칠과 미국의 싱어송 라이트 밥 딜런의 수상도 생색내기라며 말이 많았다. 또한 중국이 공산당의 압제를 피해 프랑스로 망명한 카오싱 젠의 수상은 냉담하면서도 친정부적인 모옌의 수상에 대해서는 난리법석을 떨었다. 문단에서는 모옌의 수상에 대해 `중국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과 저항정신이 없는 어용작가가 수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비판했다.
프랑스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사상가이자 작가인 장 폴 사르트르는 문학상 수상을 거부했다. 그는 `나는 그것을 거절하고 당신은 그것에 관하여 쓸 수 있다. 어떤 인간도 살아있는 동안 신성시되길 원치 않는다`고 일갈했다.
이처럼 노벨문학상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그 명암이 교차되어 왔다.